경주 사천왕사서 통일신라 추정 사적비편 발굴
경주 사천왕사서 통일신라 추정 사적비편 발굴
![]() |
추정 사적비편 |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굴..녹유전 정체는 '神將'인 듯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된 경주 사천왕사(四天王寺) 터에서 통일신라시대때 사천왕사 창건 관련 내용을 담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적비(事蹟碑)의 조각이 발견됐다.
특히 이 조각에서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神) 중 하나인 '신장'(神將)이라는 문구가 확인됨으로써 앞서 이 사찰의 목탑터에서 출토된 녹색 유약을 바른 벽돌(녹유전<綠釉塼>)의 정체를 둘러싼 한국미술사학계의 해묵은 논쟁이 끝날 수도 있다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사천왕사 터를 연차 발굴 중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가람 구조와 사역(寺域) 확인을 위한 최근 발굴조사 과정에서 절터 남쪽에 위치한 한 쌍의 귀부(龜趺. 거북 모양 비석받침) 중 동편 귀부 앞쪽 기단 석열(石列)에서 사천왕사 사적비(事蹟碑)의 일부로 추정되는 조각 1점과 이수(비석 윗부분의 용무늬 장식) 조각 1점을 각각 발견했다고 24일 말했다.
![]() |
사적비편 판독문 |
이 석비 조각은 화강암 재질로, 가로 55㎝, 세로 11㎝, 두께 14㎝ 정도에 지나지 않는 소형 비편이지만 매끈하게 다듬은 비면에 3.5㎝가량 되는 간격으로 가로와 세로로 음각선을 넣고 그 안에 글자를 새긴 것으로 드러났다.
글자는 2~2.5㎝ 크기에 해서체로, 통일신라시대 석비에서 보이는 각자법(글자 새김법)을 보여준다고 소재구 소장은 말했다.
이 비편은 가로로 길게 조각난 형태로 비문은 15행 정도 확인된다. 그러나 1행당 글자가 1~3자씩밖에 존재하지 않아 문자는 선명하지만 문맥이 거의 연결되지 않는 데다 내용 역시 알기는 어렵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비문 조각에서 확인된 글자는 신장(神將)ㆍ대왕(大王)ㆍ16일(十六日)ㆍ거악(巨嶽)ㆍ특(特)ㆍ도(道)ㆍ이(而)ㆍ강(疆)ㆍ월(月)ㆍ철(徹)ㆍ영(英) 등의 30자 정도다.
이 중에서도 '신장'이라는 글자는 사천왕사 목탑터 출토 녹유전에 표현된 조각의 정체와 관련해 비상한 주목을 끈다.
![]() |
사천왕사 귀부 |
그동안 이 녹유전 조각에 대해 신장의 일종인 '팔부신중'(八部神衆)으로 보는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의 학설과 사천왕(四天王)으로 간주하는 강우방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의 주장으로 크게 엇갈렸다.
하지만 이번에 통일신라시대에 작성한 사천왕사 추정 사적비에 '신장'이라는 글자가 확인됨으로써 녹유전의 정체는 '신장'일 가능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 비편이 발견된 곳과 가까운 지점에서는 이수 부분의 용 비늘 무늬를 새긴 석재(잔존 크기 15.5~18㎝) 1점도 같이 발견됐다.
경주연구소 박종익 학예실장은 "이수 역시 조각이 정교하고 통일신라시대의 조형성을 보이므로 비편과 이수는 원래 같은 비석의 일부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 |
신발견 이수 편 |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2011/03/24 10:1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