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해외

[실크로드답사] 동서의교역로 3가지

박근닷컴 2011. 7. 27. 19:29

실크로드란 이름의 어원은 1877년 독일의 지리학자인  리히트호펜(F. Richthofen)이 중국에서 중앙아시아

인도로 이어지는 교역로를  그 주요 교역품이 비단인 것에 착안,

그의 저서 'China' 라는 책에서  '자이덴 슈트라쎄(Seiden strasse)' 라고 명명한 것에서 나왔다.

 

 하지만 연구가 계속되면서 1910년 독일의 동양학자 알버트 헤르만이

 교역로를 중국에서 시리아까지 간다고 주장하였으며,

 오늘날에는 동서의 교역로를 3가지 나눈다.

 

 

1.  비단길(Silk-road):  장안(오늘날의 西安) 에서 출발하여 돈황 ~ 천산산맥~

                                       타클라마칸사막 ~ 파미르고원 ~중앙아시아 ~

                                       지중해(시리아)   까지 이어지는 오아시스(Oasis) 길.

 

2. 초원길(SteppeRoute): 유라시아대륙의 북방 초원지대를 동서로 횡단하는

                                             교통로이다. 건조한 초원지대로 이동이 편하며

                                             주로 유목-기마민족이 이용한 교통로이다.

 

3. 바닷길(海路): 해로는 비교적 늦게 만들어진 교통로이다.

                              지중해~홍해~인도양~동남아시아~중국~한반도~일본의

                              경로가 있다. 이 바닷길의 주요 교역품은 도자기와 향료이다.

                              때문에 이 길을 '도자기로' ,  '향로로' 라고 불리기도 함.

 

 

※교역로의 역사:   문명에 의한 교역로가 생기기 이전에

                                   스키타이를 비롯한 북방 유목민족에 의해

                                   일찍히 동서를 왕래하는 일이 있었으나

                                   역사적으로 보면 서쪽의 알렉산더대왕의

                                   동방원정(B.C 4세기)이 그 시초라고 볼수있다.

                                   그후 서남아시아와 인도북부는 여러문화가 만나

                                   동-서의 교통로가 자리를 잡기 시작하고

                                   중국에서는 한무제시대의 장건이 중국을 자주 침략하는

                                   북방의 흉노족을 타도하기 위해 서역의 월지국과

                                   협력하기 위해 서역을 개척했으며

                                   그후 이광리등의 모험가등에 의해 더욱 크게 개척됨.

                                   로마의 제국시대에는 로마의 황제 '아우렐리우스' 의

                                   사절단이 해로를 통해 중국까지 도달하기도 함.

                                   원(元)나라때는 몽골족이 동.서의 교류의 독점자인

                                   이슬람권을 격파하여 동.서의 교류가 더욱 크게 확대되고.

                                   이때 베네치아의 마르코폴로가 다녀가기도 했다.

 

실크로드 동서교역의 중계지였던 쿠챠, 투루판, 돈황같은 오아시스도시에 남아있는

석굴사원같은 불교유적은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기전에

이미 서역에서는 이미 융성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원은 신앙의 중심임과 동시에 교역을 위한 상담창구와 같은 역할을 했음을 알 수가 있다.
서역불교에 대해서는 법현法顯의 '불국기'와 현장삼장玄奬三藏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그리고 그의 제자가 쓴 '대자은사삼장법사사전大慈恩寺三藏法師傳'에 자세하게 기록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