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개미취/개미취는 고려쑥부쟁이라고도한다.
벌개미취
우리나라 특산종인 벌개미취는 개미취보다 키가 좀 작다.
무리지어 핀다 ...벌개미떼가 몰려든거 처럼...
개미취
벌개미취에 비해 키가 훨씬 커서 시원하고 가지가 많고 꽃이 여럿이라 산만한 느낌이 있다.
꽃이작다.
제비꽃처럼 구분하는 게 정말 힘든게 국화과 꽃이다.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전에는 쉽지 않을 듯하다.
구분 | 개미취 | 벌개미취 | 쑥부쟁이 | 구절초 |
---|---|---|---|---|
꽃 |
- 보라색 길게 자람 |
- 진보라(자주) 꽃이 펼쳐진 모습 이 큰 편 |
- 옅은 보라 지고 가지마다 꽃도 가득 핌 |
- 흰색/옅은 분홍색
|
개화 | - 7∼10월 | - 6∼10월 | - 7∼10월 | - 가을 |
잎 | - |
- 물결모양의 톱니 방석처럼 둥글게 피어남 |
- 굵은 톱니 | - 국화와 같은 모양 |
줄기 | - 곧게 자람 | - 진한 녹색 | - 꽃 무게 때문에 비스듬히 누워자람 | - |
크기 | - 1.5m | - 50∼60cm | - 50cm | - 1m |
개미취와 벌개미취는 산과 들에서 자라는 데, 재배가 쉬워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취]는 먹는 나물 종류라 붙는 이름이고,
[개미]는 꽃대에 개미가 붙어 있는것 처럼 작은 털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개미취의 경우에는 줄기에 까칠한 털이 감싸고 있다.
벌개미취의 [벌]은 벌판에서 자란다는 의미에서 붙은 것이며
특히, 벌개미취의 학명은 [Aster koraiensis]라 하는데 [koraiensis]는 한국특산을 가리킨다.
(한국 특산이란 한국에서만 자라는 종이다, 한문으로는 조선자완(朝鮮紫?)이다),
[Aster]는 별이라는 뜻인데요, 그래서 별개미취라 부르는 지역도 있다.
쓴 맛이 강해서 데친 후에 햇볕에 바싹 말린 후 다시 물에 불려서 먹는다.
개미취 뿌리는 실험을 통해서 항균/항암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고 하는데, 예전부터 가래와 기침을 멈추는 데 사용했다고 하며(다만, 열이 나는 증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기관지나 폐와 관련된 병에 효과가 있다.
벌개미취도 가래와 기관지, 호흡기 질환에 효과가 있다.(인터넷발췌)
'☆-여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타나 (0) | 2010.08.31 |
---|---|
조밥나물 (0) | 2010.08.26 |
옥잠화/며느리밥풀/박주가리 (0) | 2010.08.22 |
[스크랩]개미취 (0) | 2010.08.22 |
도라지모싯대/당잔대/잔대 (0) | 201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