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산 독락당(獨樂堂) 계정(溪亭) 독락당(獨樂堂, 홀로독 즐길락 집당, (보물 413호, 옥산정사)은 이언적 선생이 김안로의 등용을 반대하다 파직(1531)당한 뒤 고향으로 내려와 지은 집으로, 1532년부터 약 6년간 성리학 연구에 매진했던 공간이라고 한다. 옥산서원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언적 선생의 둘째 부인의 후손들이 기거하고 .. ▶답사 안강 2010.08.12
- 안강 독락당 살펴보기 1 독락당 -솟을대문- 안쪽에서 본 -솟을대문- 솟을대문’은 대문 양옆에 붙은 행랑채나 담장보다 높은 대문을 말한다. 조선 시대 종2품 이상 벼슬아치들이 타던 외바퀴 수레인 초헌(軒)을 탄 채로 들어갈 수 있도록 문을 높게 만든 것인데 양반가의 상징처럼 되었다. 솟을대문이 양반을 상징하는 건물이 .. ▶답사 안강 2010.08.12
- 안강 독락당 살펴보기 2 안채에서 사랑채로 나가는문... 사랑채(별채) 독락당은 문원공 회재 이언적이 1515년에 경주 주학교관에 부임하여 지은집으로 그의 아들 잠계공 전인이 물려받아 지금껏 대를이어 보존하고 있다. 건립초기에는 현재의 인지헌과 양진암자리에 학업을 위해 'ㅡ' 형 평면의 초려삼간을 지은것으로 추정 회.. ▶답사 안강 2010.08.12
안강 보물 제526-2호 여주이씨옥산문중소장유묵(麗州李氏玉山門中所藏遺墨) 제목: 보물 제526-2호 여주이씨옥산문중소장유묵(麗州李氏玉山門中所藏遺墨)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7점 -지 정 일 2006.09.01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이해철 -관 리 자 이해철 ○ 원조오잠(元朝五箴) ‘원조오잠’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 27세 때 .. ▶답사 안강 2010.07.30
- 안강 옥산서원 들어가기...2 역락문(입구) 3칸으로된 문 삼문이라한다. 문을 세칸으로 만드는것은 권위와 위계를 상징하며 가운데문은 특별의례 때 사용 하거나 특별한 사람만 출입할수있고 양쪽문은 보통사람들이 출입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삼문은 궁궐,성곽,서원,향교및사당 정문에 사용되었다. 역락문 현판글은 '석봉' .. ▶답사 안강 2010.07.27
- 옥산서원 역락문에서 들어서면...3 역락문 안쪽에서 문둔테 역락문 안쪽에서... 문턱에.... 가는날이 보수공사중이라 사진이 지저분하다... 무변루 밑으로......나가면 서원 강당마당에 이른다. ▶답사 안강 2010.07.27
- 안강 옥산서원 회재 이언적 신도비각...6 회재 이언적의 신도비(경상북도 유형문화재376-1호) 1577년 고봉 기대승 이 지음. 글은 아계 이산해가 썼다. 문원공 회재 이언적(1491-1553)은 조선 중종-명종대를 대표하는 성리학자 사림파 관료로 동방오현 중의 한사람으로 꼽힌다.기타등등.....신도비의 안내문에 적혀있다. 아계 이산해는 8문장가이다. .. ▶답사 안강 2010.07.27
안강 호계서사 호계서사(虎溪書社) 안동인 매와(梅窩) 권사악을 추모해 세운 사당으로 고종 때 금령으로 헐렸던 것을 2001년에 후손들이 그 자리에 새로 복원했다. 공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으며 경주판관 박의장(朴毅長)등과 문천(汶川)에서 회맹하고, 손시(孫時), 최진립(崔震立)과 함.. ▶답사 안강 201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