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비, 묘갈, 묘지, 행장, 유사록의 정의 |
神道-碑 |
임금이나 정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무덤 남동쪽의 큰 길가에 세운 석비石碑. |
신도神道는 묘 앞에서 입구까지 낸 길을 말한다. |
중국의 경우 한대漢代부터 성행했는데, 처음에는 석주石柱를 세우거나 |
간단한 제액題額을 써서 표시했을 뿐이고, |
묘비에 글자를 새기기 시작한 것은 진晉, 송宋대에 들어서였다. |
우리나라에도 삼국시대부터 묘비를 세우기 시작했다. |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신도비를 세우는 것이 성행했는데, |
태조의 능인 건원릉建元陵,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 등 왕릉 앞에 세워진 것이 있다. |
사대부의 경우에도 생전에 세운 공로나 인품을 기록하여 비석을 크게 세우는 사례가 많았다. |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갖춘 형식이나 귀부는 생략하고 이수만 갖추기도 했다 |
|
墓 碣 |
무덤 앞에 세우는 돌비석 또는 한문학 문체의 이름. |
묘갈墓碣과 묘비墓碑는 비석으로 불리기도 했다. |
구조는 대개 맨 아래에 반석盤石, 그 위에 비신碑身, |
맨 위에 지붕 모양의 가첨석(加檐石 : 개석蓋石)으로 되어 있는데, 가첨석이 없는 경우도 있다. |
죽은 이의 이름, 가족관계, 출생과 사망 연월일, 자손관계 기록, 살아 있을 때 했던 일 등을 기록했다. |
당나라 때는 관직이 5품 이상이어야 귀부이수龜趺螭首를, 5품 이하는 방부원수方趺圓首를 세웠다. |
〈후한서 後漢書〉 주注에는 네모진 것을 비碑, 둥근 것을 갈碣로 구분했고, |
〈문체명변 文體明辯〉에는 반니潘尼가 반황문潘黃門의 묘갈문을 지어 묘갈문을 만드는 것은 |
진晉나라에서 비롯되었으며, 관직의 등급에 따라 갈과 비를 구분했으나 |
실제로는 다를 것이 없었다고 했다. |
서법書法은 명名이 있고 없고에 관계없이 갈碑과 비碣는 같았다. |
묘갈은 죽은 이의 이름을 후세에 전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므로, |
대체로 죽은 이의 긍정적인 좋은 점만 쓰는 것이 특징이었다. |
그래서 내용의 자료적 가치는 적을 수밖에 없었다. |
묘갈에 써 있는 명문銘文을 묘갈명이라고 하는데, 운문韻文으로 되어 있고 |
대개 4언이 중심이나 5언 · 7언의 장단구長短句도 있다. |
한국에는 고려시대 최충崔沖의 〈홍경사갈 弘慶寺碣〉이 처음이며, |
조선 중기에 와서 크게 성행했다. |
대표적인 인물인 송시열宋時烈은 많은 묘갈명을 남겨 후대 금석문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
|
墓 誌 |
광지壙誌라고도 함. |
죽은 이의 행적이나 무덤이 있는 장소와 방향을 글로 새겨 무덤 앞에 묻은 돌이나 |
도판 또는 거기에 새긴 글. |
덕흥리벽화고분 / 덕흥리벽화고분의 묘지, '영락 18년' … |
보통 정방형인데 세월이 흘러 무덤의 형태가 바뀌어도 어떤 이의 무덤인지 알 수 있도록 |
무덤 속에 묻거나 묘실의 벽면에 써 넣었다. 지誌는 지志로도 쓰며 모두 기록한다는 뜻이다. |
한국에 남아 있는 묘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
1935년 만주 지안 현[輯安縣] 고구려고분에서 발견된 모두루묘지牟頭婁墓誌이다. |
이것은 광개토왕에서 장수왕에 걸친 5세기 전반기의 것으로 총 80여 행에 각 행 10자씩, |
회칠한 묘실 벽면에 먹으로 쓴 것으로 모두루의 가계를 비롯한 활동을 적었다. |
그밖의 유명한 것으로는 백제시대 공주 무령왕릉의 지석誌石이 있다. |
이것은 525년(성왕 3)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신地神에게 묘터를 삿다는 토지매매계약서로 |
중국에서는 매지권買地券이라고 한다. |
고려와 조선시대에 와서 묘지가 많이 나타나는데, |
고려시대에는 오석(烏石 : 흑요석)과 점판암으로 된 판석에 음각으로 글을 새긴 것이 대부분이었다. |
조선시대에는 오석, 점판암과 함께 자기로 만든 도판도 썼다. |
묘지는 묻힌 이의 집안 계통이나 신분 등 개인 신상은 물론 |
그 당시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그러나 묘지를 묻는 일은 일제강점기 이후 점차 없어졌다. |
|
行 狀 |
고려와 조선시대에 죽은 자의 이력과 행적을 기록한 글. |
연보年譜라고도 한다. |
행장이 언제부터 작성되기 시작했는가는 불분명하다. |
오늘날 전하는 행장 중 가장 연대가 앞선 것은 1265년(원종 6)에 작성된 민적閔頔의 행장이다. |
행장은 시호· 비명· 묘지명 작성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
고려에서 시호를 내리는 일을 관장하던 전의시典儀寺가 |
목종대에 그 기능과 직제가 정립된 것으로 보아, |
행장은 늦어도 목종대 이전부터 작성되었다고 추측된다. |
이후 행장은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고, |
유학의 발전 및 유교문화의 융성과 함께 보편화되었다. |
행장의 내용은 작성시대와 작성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그러나 현존하는 고려·조선 시대의 행장을 보면 대개 ① 행장인의 관직, ② 성명, ③ 본관·가계, |
④ 출생년 ⑤ 성장, 수학 과정 ⑥ 출사로出仕路, 역관歷官, 행적, 공적 ⑦ 졸년 ⑧ 장지 |
⑨ 부인, 부인가계 ⑩ 성품 ⑪ 자손 ⑫ 행장 작성자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
행장은 위로는 왕, 대신, 재상으로부터 |
아래로는 벼슬하지 않은 유학에 이르는 인물 모두가 작성의 대상이 되었다. |
행장의 작성자는 행장인의 기호·지위·학행·재행 등과 관련되어 다소 차이가 있었다. |
행장인 자신이 평소에 행장을 지어두었다가 자손에게 전하는가 하면, |
왕명에 따라 문장에 능한 관인이 작성하거나, |
행장인의 자손의 청탁에 따라 친구나 문인 또는 자손들이 작성하기도 했다. |
이중 조선 후기에 들어 종2품 이하 관인 및 유학에 있어서는 문집의 간행이 성행하고, |
그 문집에는 문집의 주인공과 그 후손의 연보나 행장을 수록하게 했는데 |
대개 교우 또는 문인이 행장을 작성했다. |
행장은 한 가문의 행적을 기술한 가장家狀과 함께 |
〈조선왕조실록〉의 졸기, 비명, 묘지, 묘갈명, 연보 등을 작성하는 데 기초가 되었고, |
증시의 대상이 되는 관인(정2품 이상), 공신(친공신)의 경우에는 시호 상정의 토대가 되었다. |
행장은 해당 인물에 관한 가계, 출사로, 역관, 치적, 공적, 교우관계 등이 |
종합적으로 기록된 일대기이므로 해당 인물의 구체적인 행적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 |
그런데 행장은 비명, 묘지, 묘갈명과 같이 그 작성자가 행장인과 친분이 깊은 인물이거나 |
자손 등이 되기 때문에 공이 주가 되고 허물은 제외되기 쉬우므로 |
이것의 이용과 해석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
행장은 각 개인의 문집의 말미, 족보의 초두에 부록으로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 |
〈국조인물고〉·〈동문선〉 등의 문헌에도 여러 사람의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
|
遺 事 錄 |
죽은 사람이 남긴 사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