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포항

포항 학천리- 천곡사

박근닷컴 2011. 3. 24. 00:54

천곡사 : 포항시 흥해읍 학천리

 

신라 선덕여왕 때에 창건되었다 전한다.

절 앞에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큰 샘이 있는데 신라 선덕여왕이 이 물에 목욕하고

피부병이 나았으므로 자장율사를 시켜 이 절을 세웠다고 한다.

여러 곳에 암자 터가 남아 있고 부도군도 큰 사찰이었다.

이 절에는 조선시대 숙종이 하사한 붓을 보관해 오다가 한국전쟁 때 건물이 불타면서 없어졌다 한다.

옛 건물은 없고 우물도 새로 단장을 했고 부도군도 도로공사로 절 남쪽으로 옮겼다.

사적비는 부도 밭 안에 있다.  

천곡사(泉谷寺) 석천(石泉) 흥해읍 학천리(鶴川里), 천곡사에는 석천이라는 샘이 있다.

신라27대 선덕여왕은 피부병으로 오랫동안 고생하였다.

마침 석천의 소문을 들은 신하가 동쪽 도음산 천곡령(泉谷嶺)아래 효험 있는 샘에 가서 씻을 것을 권하였다.

이 말을 들은 여왕은 안강, 기계, 신광을 거쳐 흥해 천곡령에 도착하여

석천에 목욕을 하고 나니 씻은 듯이 병이 나았다고 한다.

여왕은 하도 신기하고 고마워서 자장율사로 하여금 그 곳에다 절을 짓도록 명하고

이름을 '천곡사라고 하였다.' 한다.

절은 안타깝게도 한국전쟁 때 전소되었으나

석천(우물)만은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채 아직도 그 맑음을 자랑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곡사 입구전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소천, 석천이라고도 한다.

선덕여왕의 피부병을 고쳤다는 그 우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의 절 규모보다는 부도군을 보면 당시 상당히 큰 규모임이 짐작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곡사 사적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관음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선덕여왕 피부병에 걸리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곡령의 약수를 듣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곡령의 약수를 확인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왕 천곡령의 약수터로 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물에 목욕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곡사를 짖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중생에게 가피를 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