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관련자료

함께답사 한 분이 정리해주신 자료임.

박근닷컴 2011. 5. 30. 17:47

문화재답사 동호회 '옛길답사'에서 '사천왕(팔부중)이 있는 탑을 찾아' 라는

답사를하고서 카페지기님이신 정재동선생님께서 정리해주신 자료를 여기에 옮겼으며 아래 글 일부는 나의(송원)글도 포함되었슴.

 

석탑의 수호 또는 장엄은

 사천왕상, 금강역사상, 팔부중상, 십이지신상, 그리고, 천인상, 공양상, 안상, 문비 등 인 것 같습니다.

 (상륜부 장식과 옥개석 풍탁을 제외하고.........)

 

첫 번째 경주남산 승소골 삼층석탑입니다.

경주박물관 정원, 정문 들어가면 바로 언덕위에 있습니다.

- 하층기단 상층기단 1층탑신에 모두 안상이 있습니다.

- 1층 탑신 안상 안에 사천왕이 있습니다.

 

- 보이는 대로 만 정리하면

- 안상은  하층기단 상층기단 1층탑신에 모두 나타날수 있다는 것이고

- 사천왕은 1층 탑신에 나타납니다.

 

 

승소골 삼층석탑의 1층탑신 남쪽

남방증장천왕입니다.

 

 경주박물관 중앙정원에 있는 탑신석입니다.

새로만든 다보탑 석가탑 앞에 동서로 두개가 있습니다.

그중 동쪽에 있는 것입니다.

모두 사천왕이 새겨져 있습니다.

윗면에는 사리공도 있습니다.

부조가 매우 높습니다.

1층 탑신석이겠죠....

 

박물관 정원 탑신석 사천왕상입니다.

어쪽인지 기억이 잘 안납니다.

탑을 들고 있지 않으니 북방다문천왕은 아닙니다.

 

경주박물관 미술관 앞에 있는 금강역사입니다.

구황동 절터(전도림사지)에서 옮겨온 것 입니다.

문의 좌우를 지키는 모습의 쌍으로 나타나고

입을 벌린 것이 아-금강역사                  

입을 다문 것이 흠 금강역사 라고 합니다.

아는 시작음, 흠은 마지막음....

처음부터 끝까지 부처,불법을 수호 하겠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오른쪽 금강역사 입니다.

금강역사란 금강저라는 무기를 가지고 있는 역사를 말하는데

이처럼 무기를 들지 않고 권법자세를 취하는 것도 금강역사라고 합니다.

보통 이해하기를

금강역사 = 인왕 이라고 같은 것으로 알고있으나,

(실제로 사전에도 같은 것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인왕은 어진 임금이 취해야 할 덕목을 설한 인왕경에 나오는 것으로 볼때

탑에 나타나는 이 수호신상은 금강역사라 함이 옳다는 이야기가 있었죠.

 

구황동 절터에는 분황사 석탑과 같은 재료인 안산암 편들이 있는 것으로 봐서

모전석탑의 1층감실 좌우에 있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숭복사지삼층석탑입니다.

경주에서 울산가는 7번국도로 가다보면 말방리에 있습니다.

- 1층 탑신에는 문비장식이 있고,

- 상층기단에는 팔부중이 있습니다.

 

숭복사지삼층석탑 1층탑신의 문비장식입니다.

 

 

숭복사지삼층석탑의 상층기단 팔부중입니다.

왼쪽 긴나라, 오른쪽 마호라가 입니다.(맞나요)

 

팔부중은

불타팔부중과 사천왕팔부중이 있는데

다르게 부릅니다. (이름이 같은 것도 있고...)

탑에 나타나는 것은 불타팔부중 이겠죠.

불타팔부중은

-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호라가

사천왕팔부중은 사천왕의 권속으로

- 건달바, 비사라, 구반라, 피협타, 용, 부단나, 야차, 나찰

(자료마다 이름이 조금씩 다르네요.) 

 

어쨌든 팔부중은 사천왕천의 아래세계로

탑에서는 1층기단에 나타납니다.

팔부중의 배치는 탑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숭복사지탑에서 주시할점은

사방의 면석 한장에 사천왕상이 2구씩 새겨져 있어서

팔부중의 조합을 알아보는데는 기준이 된다는 점입니다.

 

원원사지삼층석탑입니다.

말방리에서 숭복사지에서 나와 울산쪽으로 더 가다가 모화리에 있습니다.

- 1층탑신에는 사천왕이                   

- 상층기단에는 12지신상이 있습니다. 

 

원원사지삼층석탑 1층탑신 사천왕상입니다.

부조가 매우 높습니다.

 

원원사지삼층석탑 상층기단 12지신상입니다.

12지신상은 더 설명 필요 없죠.

시간과 방위의 개념이 있는 거...........아시죠.

 

장항리사지오층석탑입니다.

이전에 원원사지 나와서

관문성-기령-마우나오션-상계폭포-동해구(점심식사, 횟집) 지나서 왔습니다.

1층 탑신석에 문비장식과 양쪽에 금강역사가 있습니다.

 

장항리사지오층석탑 1층몸돌 문비장식과 금강역사 입니다.

- 문비장식은 문을 뜻하겠죠. 1층 탑신석에 있고,                                      

- 금강역사는 문을 지키는 수호신상이니 문비가 있는 1층 탑신석에 있습니다. 

- 문비장식은 고선사지삼층석탑이 가장이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상은 무장사지삼층석탑 : 맞나요 ?

- 금강역사상은 분황사모전석탑이 가장 이른 것이고,,,,

- 팔부중은 창림사지삼층석탑....

- 사천왕은 : ? 어디죠....

- 십이지신상은  : ?

 

분황사모전석탑입니다.

1층탑신 감실 문 양쪽에 금강역사가 있습니다.

 

1층 탑신 감실 좌우 금강역사상입니다.

경주박물관 미술관앞에 있는 구황동사지 금강역사상이 이와 비슷하죠.

- 키가 크고 작고에 따라 북제/수,당나라 양식으로 구분해서 설명하셨는데

잘 기억이 안납니다. 누가 보충 좀 해 주시죠.

 

금강역사의 복장도 무슨 설명이 있었는데 보충 부탁합니다.

사천왕상의 갑옷에 대해서도.......

 

경품..........

분황사 보광전 약사여래앞 재단 받침으로 사용하는 탑신석입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천인상으로 보시는 분이 있던데......

 

마지막

황룡사지서쪽절터 탑신석입니다.

 

황룡사지서쪽절터 탑신석 사천왕상(서방광목천왕)입니다.

 

 

이곳을 마지막으로 첫 가을답사(사천왕이 있는 탑을 찾아..)를 마쳤습니다.

이후 안압지의 가을밤(이승철 콘서트)도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정리해보면

 

1. 안상 : 하층/상층기단, 1층탑신에 모두 있음.                   

2. 사천왕 : 1층 탑신에 있음.                                           

3. 금강역사 : 1층 답신(문비 또는 감실 좌우)에 있음.           

(인왕보다는 금강역사라 함이 옳음.)

4. 문비 : 1층 탑신에 있음.                                               

5. 팔부중 : 상층기단에 있음.                                           

- 불타팔부중/사천왕팔부중이 있음.(호칭이 일부 다름.)

- 탑에 있는 것은 불타팔부중(여래팔부중)임.               

6.십이지신 : 상층기단에 있음.                                       

7. 각 도상의 위계는 사천왕/금강역사가 높고,                    

             팔부중/십이지신은 그 아래......

 

 

생각나는 대로 적어봤습니다.

틀리거나 부족한 부분은 댓글 달아 주시면 고치겠습니다.

한사람, 한사람의 지식과 견해를 모으고, 정리하면

근사한 모자이크 작품 하나 나오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송원님 / [국도4호선님] 댓글을 본문으로 옮깁니다.]

정리해주시는분 덕분에 확실한정리를합니다. 강셈의 아수라의 설명은 아수라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됐구요.

해와달에게복수를하는...선신과악신 인도신화를 들춰봐야하는숙제를주시네요. 그날말씀하신 인도에 신중에 신..

찾아보니 비슈누..맞는지..? /제가들은부분은... 팔부신중상은 탑에선 좌상을 한다. 다만 석굴암에는 입상으로 있다.

도상중에 마호라가 '라가'는 뱀을말하는데 마호라가는 작은뱀을 가리킴 마후라가 [摩喉羅伽]라고도한다.

산스크리트어로 - Mahoraga

[역시 공부 잘하는 학생은 달라~ 신중의 신 비슈누(희랍신화의 제우스 격) , 팔부신중도.. 마호라가 도 맞구요~ ^^]


금강역사상 도상 석굴암-> 장항리사지-> 간월사지 순으로 조각양식이 흡사하다.

분황사에 금강역사상 엑스자옷주름은 북위 불상의영향을 받은것이며(동글동글,짤달막..4~5등신)

박물관에있는 전 도림사지 금강역사상은 수의 양식을 받은것으로(체형이길어진다)/

십이지신상은 탑이나 왕릉에 나타나며 탑은 경주에 기단 면석에 나타나는 원원사지 동,서탑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것이며 왕릉에 나타나는건 성덕왕릉이 최초이다(환조).

[엑스자 옷주름은 북위양식 맞구요...동글동글, 짝달막은 북주, 북제양식이구요~~

십이지는 탑 부조도, 왕릉호석 십이지도 다른나라에는 없습니다.]


사천왕상 최초는 말씀하지않은것같구요.

십이지신상과같이 방위를 가리키며 인도에서는 귀족형으로(콧수염) 나타났는데 서역을 거치면서 갑옷을 입게된다.

갑옷은 양당개 또는 명광개를 입는다.

양당개는 조끼처럼생긴거 명광개는 무관예복처럼생긴 가슴에둥글게되있어 칼이나창을 맞지않게하는..

대부분 두광이있으며 생령좌(악귀)를 밟고있다.

승소곡탑은 안상속에 사천왕상이있어 특이함...

도상에서 머리를 묶은건 속발형으로 인도식이며, 모자형으로썼는건 투구형으로 중국식이라고..

[석조물에 나타나는 사천왕상 최초는 원원사지 석탑이라고 알려져 있구요.

사리기에는 682년 감은사 사리기가 먼저입니다.

물론 소조상은 더 빠른데 석장사지에 7세기경 다문천왕 소조편이 있고,

사천왕사 소조상은 사천왕이 아닐수 있습니다. 논란 중이죠]


이상으로 그날 듣고배운것이고요...틀린거 고쳐주세요..

욕계,색계,무색계, 나찰, 또또....범천형사천왕,인도신들,,약사신,,,아이고~ 머리아파요.....

다른분이쉽게 좀...ㅎ

'☆-역사.문화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압지 조감도  (0) 2011.05.31
불국사 조감도  (0) 2011.05.31
三國志卷 魏書 東夷傳  (0) 2011.05.27
우리 꽃 이름의 기초상식  (0) 2011.05.26
한옥 지붕형식  (0) 201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