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경상도

영양 봉감 모전오층석탑 [국보187호]

박근닷컴 2012. 8. 21. 23:15

 

 

 

 

 

 

 

 

 

 

(문화재청 옛사진)

 

 

 

탑신부분에 한 단의 돌출된 층에 대해 정리를 해보면....

 

- 해체수리당시에 5층상부와 탑주변에 다량의 기와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이탑의 지붕에 기와를 올렸다는 것을 말하는것이며 돌출부위 아래로

기와가 놓였을 가능성.

탑신의 아래쪽 돌출부는 지붕에 기와를 얹기위해 고정시키는 역활을 할수있으며

아울러 비가 올때 지붕을 통해 스며드는 빗물을 차단 시킬수 있는 역활이다.(신용철님)

 

- 몸돌을 이중으로 (톨출된 한 단을 중심으로)아랫부분은 한옥 기단의 허튼돌막쌓기처럼 조성하고

윗부분은 벽돌 모양으로 바른쌓기를 했다는 것인데

그 이유가 기와를 올리기 위한 구조물이 아닌가 . (최..님) 

 

- 탑신에 한단의 층은 탑에 무게를 견디기 위해 만들지않았나

동시대 중국 당나라에 전탑들에도 보이는데 그탑을 모방 했다는 일부학자들의 설.

 

 

 

 

큼직한돌을 깍아 전탑을 모방한 석탑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있는탑이며 완전해체복원되어 내부와 기단구조가 파악된탑이다.

 

탑신은 큼직한돌 지붕부분은 탑신석보다 낮게 깍아 다듬었다

모전석으로 여러단으로 지붕을 내는것은 어려울뿐만아니라

지붕의 곡선을 살리기에 어려우므로 그랬을 것으로 추정(신용철님)

 

 

 

 

 

 

 

 

 

 

 

 

 

 

 

 

 

 

 

 

 

 

 

 

 

 

 

 

 

 

 

 

감실속에 불상이 있었는데 어느날인가 없어졌다  근처(입암면)신구리에 훼손된불상이 있다고 하는데

그 불상이 이곳에 있던게 아닌가 추정할뿐 정확한건 알수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