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우다 장렬히 순절하신 부산지방 순국선열의 영령을 모신 곳이다.
현재의 충렬사는 1605년(선조 38년)에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동래읍성 남문 안에 충렬공(忠烈公) 송상현(宋象賢)을 모신 송공사(宋公祠)를 세우고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1624년(인조 2년)에 선위사 이민구(李敏求)의 건의로 『忠烈祠』라는 사액을 받고 부산진성에서 순절한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을 모시게 되었다.
그 후 1652년(효종3년)에는 충렬사를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선열의 충절과 학행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강당과 동서재를 지어 안락서원이라 하고 사우(祠宇)와 서원(書院)으로서의 기능을 갖추었다.
1709년(숙종35년)에는 충렬공과 충장공이 순절할 때 함께 전사한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동래교수 노개방(盧蓋邦), 유생 문덕겸(文德 謙), 양조한(梁潮漢), 비장 송봉수(宋鳳壽)와 군관 김희수(金希壽), 겸인 신여로(申汝櫓), 향리 송 백(宋 伯), 부민 김 상(金 祥) 등의 위패를 모신 별사를 옛 송공사 터에 건립하였다.
1736년(영조12년) 별사에 모셨던 분을 충렬사에 합향하였으며 1772년(영조48년)에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공을 추배하고 임란 때 송상현공과 정발장군을 따라 순절한 금섬(金蟾)과 애향(愛香)을 위해 충렬사 동문 밖에 사당을 세웠다.
충렬사는 그 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와 보수를 하여 현재는 93,823㎡의 경역에 본전 외 15동의 건물이 있으며 부산지방에서 순절한 93위의 위패를 봉안하고 매년 5월 25일 부산 시민 모두의 정성을 모아 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충렬사의 제향은 조선왕조의 유교적 정치이념에 젖은 생활철학이 구체화된 의식으로서 우리 고장의 선비들이 자발적으로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우다가 장렬히 최후를 마친 동래부사 송상현공과 백성들의 영령.의백(儀魄)을 송공사(宋公祠)에 봉안하고서 제향을 모신 데서 비롯된 것이다.
해마다 음력 2월과 8월 중정일(中丁日)에 봉행하는데 제향을 10여일 앞두고 역대 안락서원장으로 구성된 원회(院會) 를 개최하여 제관을 선출한다. 제향 당시의 안락서원장이 초헌관(初獻官)이 되며, 제향의 절차는 주례(周禮)와 예기(禮記) 등에서 교시하는 예법에 따라 홀기(笏記 : 의식의 순서 등을 기록한 것)에 의해 진행된다.
나라를 지키다 순절한 영령.의백을 봉안함에 있어서 위로는 부사.군수.첨사를 비롯하여 아래로는 충복·애첩까지도 그 공을 기리어 모신 것은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징이며 제향 때 여제관이 참여하는 것도 드문 일이다. 또한 동래 유림에서 약 350여년 동안이나 끊이지 않고 계속된 의식으로서, 변함없이 옛 법식대로 모셔지고 있는 것도 이 제향의 특징이라 하겠다.
현재 (재)충렬사안락서원에서 전승.보존에 힘쓰고 있다.
'▷답사 부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감천문화마을 가다 [(2)지하철 토성역에 하차-부산대병원 암센터앞 -문화마을버스승차] (0) | 2014.05.14 |
---|---|
부산 감천문화마을 가다 [(3)~ 감천문화마을- 마을버스-지하철토성역-노포동부산종합터미널-경주] (0) | 2014.05.14 |
부산동래 읍성지 [2014.01.19] (0) | 2014.02.07 |
부산동래 복천동고분군 [2014.01.19] (0) | 2014.02.07 |
부산동래 복천박물관 1[2014.01.19] (0) | 2014.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