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장대(金丈臺) 출토 사리공양석상
국립경주박물관은 상설전시관 개편에 따른 교체 전시품으로 사리공양석상 등 경주 금장대 출토품 3점을
미술관 1층 불교미술실에서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사리공양석상, 통일신라 8~9세기, 82×43cm, 금장대 발견(1980년)
경주 서천가의 석장동 금장대(金丈臺)에서 1980년에 수습된, 이 사리공양석상은 높이가 82cm이다
둥근 돌기둥에 사리를 공양하는 장면을 새긴 것으로 당시의 사리공양 의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가운데에 탁자가 있고, 그 위에 뚜껑덮힌 그릇이 놓여 있는데 사리용기로 생각된다.
사리용기주변에는 상반신이 사람모양인 상상의 새 가릉빈가(迦陵頻伽)가 있다. 그 아랫쪽 옆으로 가운데의 사리용기를 향해 각각 5구의 보살상이 하고 있으며, 위에는 꽃이 새겨져 있다.
윗면은 여의두무늬(如意頭文)와 여러 꽃무늬로 구획을 지었다.
이 장면의 주제는가운데 놓인 그릇을 불사리기(佛舍利器)로 보아 사리를 공양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중앙의 사리함과 탁자
가릉빈가상
중앙 탁자 양쪽의 공양하는 천인들
사리공양상의 탁본
사리를 운반하거나 공양하는 장면이 표현된 예는 지금까지 모두 다섯 예가 확인되었는데, 이 석상은 독립된 석상으로서는 유일한 예이다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여진다
금장대
그 뒤 2011년에 계림문화재연구원이 실시한 금장대 발굴조사 당시, 인물상이 새겨진 또 다른 석상 1점과 거북무늬석상 1점이 조선시대 건물터의 주춧돌 자리에서 출토되었다.
현재 금장대라는 누각이 세워져있는 곳인데 원래 이 곳이 신라시대의 절터로 추정되고 있다.
신라시대의 절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 자리에 금장대라는 누각이 세워졌으나 허물어지고 빈터만 있던 곳에 2012년 새로 금장대라는 누각을 복원한 것이다
내남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가는 서천이 멀리 보문에서 내려오는 북천과 만나 소용돌이 치면서 넓은 '물방석'을 이루는 곳에 위치한 산 위에 세워진 누각이다
누각 아래 예기청소는 김동리의 단편소설 '무녀도'의 배경이 되었던 곳이며,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의 전투 지휘소 역할을 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신라 3기 8괴 중의 한 곳으로, 금장대를 지나던 기러기가 금장대의 경치에 홀려 잠시 쉬어 갔다는 '금장낙안'의 명소이기도하다.
뿐만 아니라 금장대 바로 아래의 암벽에는 청동기시기의 암각화(바위그림)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사리공양석상, 통일신라 8~9세기, 55×46cm, 경주 금장대 발견(2011년)
인물상이 새겨진 석상 2점은 정면에 새겨진 조각의 내용이 거의 비슷하다.
화면 가운데에는 탁자 위에 뚜껑 덮인 그릇이 놓여 있고, 그 주변으로 상반신이 사람 형상을 한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迦陵頻伽-또는 꽃잎)와 함께, 그릇을 향해 합장하는 하늘의 천인(天人) 10명의 모습이 좌우대칭으로 묘사되어 있다.
2011년에 발견된 공양석의 하나
사리기 문양
무릎을 꿇고 공양하는 천인상 문양
사리공양석의 탁본
이 장면의 주제는, 대개 가운데에 놓인 그릇을 불사리기(佛舍利器)로 보아 사리를 공양하는 모습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그릇을 향로(香爐)로 간주하여 향로공양 장면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거북무늬석상, 통일신라 8~9세기, 61×36cm, 경주 금장대 발견(2011년)
거북무늬석상은 아직까지 비슷한 예가 발견되지 않은 독특한 형상이어서 주목된다.
물결(또는 구름) 위에 고개를 한쪽으로 돌린 거북이를 입체감 있게 새겼다. 거북의 머리 부분은 파손되었으나, 목 뒤에 달린 불꽃을 내는 보주(寶珠)와 양 발이 생동감있게 표현되었다.
거북무늬 석상
거북의 파손된 머리부분
거북상의 탁본
이 석상들의 통일신라 제작 당시 용도에 대해서는 윗부분이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은 알 수 없지만, 어디엔가 끼워 짜맞추는 구조물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크므로, 목탑의 중심기둥을 세웠던 받침대가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
이번에 소개하는 3점의 석상은 도상(圖像)과 구조도 흥미롭지만, 통일신라 8~9세기 부조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특히 사리공양석상의 경우 현재 거의 전하지 않는 통일신라 회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행사·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무대왕릉비명 (0) | 2014.02.19 |
---|---|
[스크랩] 『한·중·일 기와의 상징에 대하여』-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초청 특별강연회 (0) | 2014.02.19 |
[스크랩] 신라 임시 왕궁 `경주 명활산성` 속내를 드러내다 (0) | 2014.02.18 |
[스크랩] 월성·황룡사·월정교…2025년 드러나는 천년왕국 신라의 `속살` (0) | 2014.02.11 |
[스크랩] 신라왕궁 복원·정비사업 본격화.. 추진회 출범 (0) | 201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