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관련자료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박근닷컴 2010. 10. 4. 09:27
신라시대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라니경〉의 목판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751년(경덕왕 10)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목판 권자본(卷子本)이다.
이 판본은 1966년 10월 경주 불국사의 3층석탑(석가탑) 보수공사중 2층 탑신부에서
금동제 사리함 등의 여러 유물과 함께 발견되어 이들 유물과 함께 국보 제126호로 지정되었다.
형태를 살펴보면 전체길이 약 650㎝, 종이의 폭 6.5~6.7㎝, 위아래 판광(板匡) 5.3~5.5㎝이다.
발견 당시 위는 상당히 산화되어 앞부분이 여러 조각으로 떨어져 있을 정도로 많이 손상되어
11항이나 없어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1989년 수리하여 거의 복원되고 현재는 3줄만이 일실된 채로 남아 있다. 이 경의 간행연도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설이 있다.
첫째, 많은 학자가 수긍하는 751년경이라는 설이다.
석가탑은 751년에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 이후에는 수리된 기록이 없으며
함께 발견된 유물도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용 가운데 대체로 690~704년에 사용된 측천무후자(則天武后字) 4종이 총10회에 걸쳐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706년경이라는 설이다.
〈다라니경〉은 704년에 한역(漢譯)되었고 한국에는 706년 황복사탑에 이미 모셔졌기 때문이다.
셋째, 고려시대라는 설이다. 유물 가운데 나타난 관직명칭이나 유물이 고려시대의 것이라 볼 수 있으므로 고려시대라고 보는 것이 옳다는 주장이다.
한편 중국에서 목판을 가져다가 찍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외국인도 있으나 대부분의 학자는 751년경설을 지지하고 있다.
이 경은 글자체가 방필(方筆)에 원필(圓筆)을 곁들인 육조체(六朝體)이며 판각술은 비교적 치졸해
초기의 판본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770년경에 인쇄되어 그동안 세계 최초의 목판본으로 알려진 일본의 〈백만탑다라니경〉
한국의 〈다라니경〉 7종 중 4종만을 발췌·판각한 것이며 판각술도 치졸하고 인쇄방법도
훨씬 뒤떨어진 데 반해 이 경은 완전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판각술도 매우 정교하고 인쇄도 일본의 것보다 더 발전된 방법이 사용되었다.
즉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판본이면서 훌륭한 형태를 갖춘 목판본이다.
이 경의 발견으로 한국에서 목판 인쇄술이 발명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