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명칭 변경
♛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조각류 석불․마애불 지정명칭 변경 예고 사유
ㅇ 국가지정동산문화재(국보․보물)의 지정명칭을 개선하여 국가지정동산문화재(국보․보물)의 지정명칭 명명(命名)방식의 상이로 인한 국민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국가지정문화재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검토된 조각류 석불․마애불 123건에 대해 아래와 같은 ‘명명 기준’에 기초하여 지정명칭을 변경하고자 함.
【 명명 기준 】
ㅇ 명명 기준을 따르되, 고유명사화 된 명칭은 예외를 인정함.
ㅇ 사찰은 동명이사(同名異寺)가 많으므로 사찰명 앞에 지명을 넣음
예)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행정구역명칭은 현재 명칭을 적용함
예)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92호) →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 지명의 단위는 시((市), 군(郡), 동(洞), 리(里)로 함
예) 함양 마천면 마애여래입상(보물 제375호) →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
ㅇ 출토지가 분명한 출토유물의 경우 원출토지명을 넣음
- 폐사지의 경우 원출토 폐사(암자)지명을 넣음
예) 오봉동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245호) → 김천 길항사지 석조여래좌상
단성석조여래좌상(보물 제371호) → 산청 사월리 석조여래좌상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보물 제1200호) →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소장기관명칭 등 지명 이외의 명칭은 넣지 않음
예) 금동미륵보살반가상(국보 제78호)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ㅇ 동일지역 내에서 소재가 변경된 경우 최소단위의 공통분모가 인정 되는
행정구역 명칭으로 통일해서 명명
- 예산삽교석조보살입상(보물 제508호) →
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예산군 삽교읍 목리에서 신리로 이운)
ㅇ 출처가 다른 경우 가지번호 부여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20호) 2구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20-1호) 1구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20-2호) 1구
ㅇ 불․보살․사천왕․동자상․불화 등을 표현한 조각에는 형상을 의미하는
‘상(像)’을 붙임
예) 금동신묘명삼존불(국보 제85호) → 금동신묘명삼존불상
경국사 목각탱(보물 제748호) → 서울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ㅇ 동산문화재는 이동이 용이하므로 사찰문화재의 경우 전각명을 제외한 지명,
사찰명, 문화재명 순으로 표기 함.
단, 복수의 동일 명칭 문화재가 동일 사찰에 있을 경우 전각명 표기
예) 남장사 보광전 목각탱(보물 제922호), 남장사 관음선원 목각탱(보물 제923호)
ㅇ 존상 명칭 표기
- 불상 : ‘석가여래’, ‘아미타여래’, ‘비로자나불’, ‘미륵불’, ‘약사여래’ 등으로 통일
- 보살상 : ‘관음보살’, ‘미륵보살’, ‘대세지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등으로 통일
ㅇ 형식․자세명칭 표기
- 독존과 삼존상 모두 입상, 좌상 등 자세를 명기
- 삼존상은 아래 명칭으로 형식 표기방식을 통일
․불․보살 삼존형식: 본존불의 명칭과 함께 ‘삼존(三尊)’으로 표기
․불 삼존형식: 본존불의 명칭과 함께 ‘삼불(三佛)’로 표기
예)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526호),
법주사 소조삼불좌상(보물 제1360호)
ㅇ 독존상은 소재지(지역, 사찰), 재질(금동, 소조, 목조, 철조, 건칠),
존상 명칭, 존상 격, 자세의 순으로 함.
예) 경주 + 백률사 + 금동 + 약사 + 여래 + 입상
(지명) (사찰명) (재질) (존명) (존격) (자세)
ㅇ 삼존상은 소재지(지역, 사찰), 재질, 존상 명칭, 존상 격, 형식, 자세의 순으로
예) 강진 + 무위사 + 목조 + 아미타 + 여래 + 삼존 + 좌상
(지명) (사찰명) (재질) (본존존명) (존격) (형식) (자세)
보은 + 법주사 + 소조 + 비로자나 + 삼불 + 좌상
(지명) (사찰명) (재질) (본존존명) (형식+존격) (자세)
ㅇ 특정형식에 대한 표기
- 반가사유(半跏思惟) 형식: 반드시 ‘미륵’과 ‘사유’를 포함해서 표기
예)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제643호)
- 비상(碑像) 형식: 연기지방 일대에서 출토된 일련의 비(碑)형식의 상으로 학계의
통칭을 따라 ‘비상(碑像)’으로 표기
예) 납석삼존불비상(보물 제742호)
- 군상(群像) 형식: ‘불상군(佛像群)’으로 표기
예)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국보 제312호)
ㅇ 재질에 대한 표기
- 두 자리 단어인 ‘금동(金銅)’은 그대로 표기
- ‘목(木)’․‘철(鐵)’․‘석(石)’은 ‘목조(木造)’․‘석조(石造)’․‘철조(鐵造)’로 표기
단, ‘금(金)’은 ‘금제(金製)’로 표기
예) 경주 구황리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
- ‘마애(磨崖)’와 ‘석(石)’이 중복된 경우 ‘석(石)’을 삭제
예) 경주 서악리 마애석불상(보물 제62호) →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삼존의 재질이 각기 다를 경우 재질 표기 생략
예) 무위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보물 제1312호)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 좌상(본존 : 소조, 좌우협시 : 목조)
- ‘비상(碑像)’은 석조(石造)를 의미하므로 재질 표기 생략
ㅇ 일괄유물에 사용되는 ‘부(附)․병(幷)․및’ 등은 ‘및’으로 통일
예) 대승사목각탱 부 관계문서(보물 제1312호) →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도 및 관련문서
예) 무인명석불상부대좌(보물 제1312호) → 연기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ㅇ 위 명명 기준을 따르되 기 지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칭은 예외 인정하여 현행 유지 혹은 기준 외 변경
- 태안마애삼존불(국보 제201호)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2구의 여래와 1구의 보살로 구성된 삼존형식)
♛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조각류 석불․마애불 지정명칭(경주것만 가져옴)
ㅇ 국보 (5건)
3 |
199 |
단석산신선사마애불상군 (斷石山神仙寺磨崖佛像群)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慶州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像群) |
ㅇ 보물 (118건)
8 |
62 |
경주서악리마애석불상 (慶州西岳里磨崖石佛像) |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慶州 西岳洞 磨崖如來三尊立像) |
9 |
63 |
경주배리석불입상 (慶州拜里石佛立像) |
경주 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 (慶州 拜洞 石造如來三尊立像) |
25 |
121 |
굴불사지석불상 (掘佛寺址石佛像)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
26 |
122 |
경주두대리마애석불입상 (慶州斗垈里磨崖石佛立像) |
경주 율동 마애여래삼존입상 (慶州 栗洞 磨崖如來三尊立像) |
27 |
136 |
경주남산미륵곡석불좌상 (慶州南山彌勒谷石佛坐像) |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彌勒谷 石造如來坐像) |
30 |
187 |
경주남산용장사곡석불좌상 (慶州南山茸長寺谷石佛坐像)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茸長寺谷 石造如來坐像) |
32 |
198 |
경주남산불곡석불좌상 (慶州南山佛谷石佛坐像) |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慶州 南山 佛谷 磨崖如來坐像) |
33 |
201 |
경주남산탑곡마애조상군 (慶州南山塔谷磨崖彫像群)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
83 |
581 |
월성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月城 骨窟庵 磨崖如來坐像) |
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慶州 骨窟庵 磨崖如來坐像) |
88 |
665 |
낭산마애삼존불 (狼山磨崖三尊佛) |
경주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慶州 狼山 磨崖菩薩三尊坐像) |
89 |
666 |
경주삼릉계석불좌상 (慶州三陵溪石佛坐像)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
96 |
913 |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
4.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전적․서적․서각류 지정명칭
ㅇ 보물 (305건)
291 |
1473 |
여주이씨 옥산문중 소장 고문서 (驪州李氏玉山門中所藏古文書) |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驪州李氏 玉山門中 古文書) |
292 |
1474-1 |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 및 향안 (慶州李氏楊月門中所藏古文書및鄕案) |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慶州李氏 楊月門中 古文書 및 鄕案) |
292-1 |
1474-2 |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 및 향안- 경주이씨 이지대 왕지 (慶州李氏楊月門中所藏古文書및鄕案-慶州李氏 李之帶王旨) |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慶州李氏 楊月門中 古文書 및鄕案 - 李之帶 王旨) |
'☆-역사.문화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신라 57대 왕은 평양기생 차릉파? (0) | 2012.03.29 |
---|---|
“왜 고조선을 우리 고대사 시대 구분에서 빼야 합니까.” (0) | 2012.03.13 |
큰 수의 단위는 다음과 같다 (0) | 2012.01.15 |
정성스레 추모하는 祭祀.(월간 문화재 사랑에서) (0) | 2012.01.11 |
전통 기법 복원하자니 인건비가 … 숭례문 딜레마 (0) | 201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