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는 유쾌한 나라…물이 달고 금이 많아 한번 가면 떠날 수 없다’
● 모함마드 보수기 이란 테헤란대 교수가 찾은 고대 페르시아 문헌 속 신라 이야기
모함마드 보수기 테헤란대학 역사학과 교수가 공개한 고대 페르시아 문헌. 필사본인 이 사서에 ‘신라’가 여러번 언급돼 있다. |
모함마드 보수기 테헤란대학 역사학과 교수가 발견한 ‘신라’. 고대 페르시아 글자로 쓰여 있다. |
모함마드 보수기 테헤란대학 역사학과 교수. |
9C 중엽 이란 항해사 시라피
“신라 사람은 흰색피부 가졌고
그곳에 가면 돌아오지 않았다”
페르시아인 눈에 비친 신라는
무릉도원이자 이상향의 나라
對中 조공의무 기록도 전해져
강디지=경주?
국제교류재단 초청으로 한국에서 고대 페르시아와 신라와의 관계사를 연구하는 모함마드 보수기(Mohammad Vosoughi·이란 테헤란대학 역사학과) 교수의 머릿속엔 옛 페르시아의 동아시아 고지도에 표시돼 있는 ‘강디지’가 신라의 ‘경주’가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다. 보수기 교수는 지난달 계명대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를 끝내고 신라와 페르시아 간 문명교류의 퍼즐을 맞추기 위해 이틀간 경주에 머물렀다. 보수기 교수가 발표한 논문 이전엔 지금까지 아랍과 페르시아인 학자들이 편찬한 총 23권의 각종 역사서, 지리서, 백과사전, 풍물지 등에 ‘신라’가 부분적으로 언급됐다. 이 내용은 1970년대 이후 재미학자 정기원을 비롯해 김정위·정수일 교수를 중심으로 상당 부분 논의돼왔다. 특히 김정위 전 한국외대 이란어과 명예교수는 2005년 ‘중동사’를 증보편찬하면서 중세 중동인 18명이 신라를 비롯한 한반도를 어떻게 묘사했는지에 대해 썼다. 이후 이희수 한양대 교수가 ‘한·이슬람 교류사’등에서 중동인의 신라 묘사에 대해 언급했다. 보수기 교수는 이번에 처음으로 페르시아의 고대 문헌을 인용해 이 사실들을 뒷받침했다.
보수기 교수는 학술대회에서 “9~16세기 많은 페르시아와 아랍 문헌들에는 신라에 대한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가 많은데 마티니 교수가 발간한 ‘쿠쉬나메’를 제외하곤 알려진 게 별로 없다. 이란인은 이란에 이슬람이 들어오기 전 수세기 동안 신라와 교류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정치와 역사에 대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사산조페르시아의 멸망(AD 632)으로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이슬람세계로 전해졌다. ‘신라(Sila)’라는 명사는 이란의 상인에 의해 육상과 해상 실크로드를 거쳐 이슬람 문화와 문학 속에 녹아들어오게 된다”고 말했다.
보수기 교수에 따르면 최초로 신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 사람은 9세기 중엽 ‘술레이만 시라피(Sulayman Sirafi)’라는 이란의 항해사다. 그는 극동지역을 여행한 이란 상인이기도 했다. 시라피는 그의 책에서 “중국의 바다 한쪽에 ‘알 신라(Al Sila, al은 관사)’라는 섬이 있다. 그곳에 사는 사람은 흰색 피부를 가졌고, 그 나라에 도착한 사람은 한 사람도 그 나라에 대한 기록을 갖고 돌아오지 않았다. 그들은 흰색 매를 가지고 있다”고 썼다.
보수기 교수는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처음으로 극동아시아에 건너간 무슬림은 시라피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븐 코르다드베(Ibn Kordadbeh)’라는 페르시아의 지리학자가 AD 846년에 쓴 지리서에는 “중국의 가장 끝 지점인 광쑤 근처에 많은 산과 많은 왕들이 있는데 그곳에는 금이 많다. 이슬람인 중에 그곳에 정착한 이도 있는데 살기가 좋았기 때문이다”라고 나와 있다. 이븐 코르다드베의 정보는 페르시아와 극동아시아 간 문화적 관계에 기초했다. 11세기에 쓴 쿠쉬나메는 페르시아에 대한 또 하나의 중요한 텍스트다. 쿠쉬나메의 중요한 텍스트는 이슬람 이전에 속하는데 동양과 서양의 두 길에 바탕을 두고 있다.
페르시아인은 신라에 대해 ‘신라(Silla)’ 또는 ‘바실라(Basilla)’라고 했다. 바실라 혹은 신라 역시 한국에 대해 비슷하게 언급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 다 역사적 동질성을 갖고 있다. 보수기 교수가 발표한 ‘고대 페르시아 문헌에 기록된 신라의 묘사와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 교류’논문에 나타난 신라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마수디(Masudi·출생미상~957년)가 쓴 ‘황금초원과 보석광산 총람’과 지리서인 ‘학습과 개관’ 속 신라
<중국 해안 건너 신라와 그에 예속한 섬을 제외하곤 이 나라에 대해 많이 알려진 바는 없다. 하지만 이라크인과 일부 외국인이 신라와 그 섬에 정착했으며 그곳을 고향으로 선택했다. 신라는 공기가 맑고, 물이 깨끗했으며 농토가 비옥했다. 또한 보석과 광석물이 많은 데다 획득하기도 쉬웠다. 그래서 신라에 정착한 대부분의 사람은 그곳을 떠나려 하지 않았고 떠나는 이도 극히 적었다. ‘왕국과 도로총람’에 따르면 중국의 동쪽에 한 나라가 있다. 이 나라에 위험을 무릅쓰고 여행한 사람 역시 맑은 공기와 비옥한 토지, 깨끗한 물에 반하고 풍요한 생활과 주민들의 친절한 행동으로 인해 그곳을 떠나려 하지 않는다. 일곱째 종족은 신라를 비롯한 중국과 그 주변지역이다. 그곳에는 노아의 아들 야벳과, 야벳의 후손 아무르족의 거주지다. 한 명의 왕이 그들을 통치하고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
(한편 김정위 교수는 ‘중동사’에서 아무르를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아들 야벳의 장자 ‘고메르(Gomer)’로 봤다. 김 교수는 야벳의 일곱 아들 중 아무르의 이름이 빠질 때도 있었는데, 이때 아무르 대신 ‘주마르(Jumar)’를 사용했으며 주마르는 ‘고메르’의 아랍어 철자라고 추정했다)
◆이븐 나딤(Ibn Nadim·출생미상~995년)이 쓴 ‘세계 각 나라의 목록(Al Fehrest)’에 나타난 신라
<중국에 ‘신라’라고 부르는 땅이 있다. 신라는 가장 아름답고 부유한 나라다. 그곳에는 금이 아주 많다>
한편 9~11세기의 지리학자 알 비루니와, 알 마수디, 알 이드리시는 각각 지도에 신라(Silla)라는 지명을 표시했다. 특별히 ‘알 비루니(Al Biruni)’는 그의 지도 ‘알 카눈(Al Qanun)’에 신라의 위도와 경도를 표시했다. 그는 신라에 대해 “중국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몇 명의 사람만이 바다를 통해 그곳으로 여행한다"고 썼다.
◆1092년 타바리(Mohammad Bin Ayub Tabari)가 쓴 ‘갈렙’이란 책에서의 신라
<중국과 가까운 또 하나의 도시는 신라다. 그곳은 강하고 견고하다. 신라의 왕은 매년 중국에 조공을 바쳐야 한다. 만약 조공을 보내지 않으면 비가 오지 않아 폐허가 될 것이다. 만약 조공을 보내면 이러한 상황은 완전히 변한다>
◆마르위지(S.Z.T. Marwzi)가 쓴 ‘동물의 자연적 번성’에 나타난 신라
<중국 영토의 가장 끝에 신라라는 땅이 있다. 무슬림이나 어느 이방인이든 그곳에 가면 정착하고 결코 떠나지 않는다. 유쾌하고 살기에 좋기 때문이다. 많은 금이 거기에서 발견된다>
◆에드리시(Edrisi·1099~1167)가 쓴 ‘먼 지역을 가로지르는 트레킹 모험’ 속 신라
<신라는 중국의 북동부에 위치한다. 당시 몇 명의 사람이 신라를 여행했다>
◆투시(M.bin.A. Tusi·1161~1178)가 쓴 ‘창조의 경외감’에 나타난 신라
<신라는 중국에 있는 한 도시다. 그곳에 들어가는 사람은 결코 이 도시를 떠날 수 없다>
◆바크란(M.N.Bakran·1208)의 저서 ‘세계 이야기’에 나타난 신라
<마친(Machin) 혹은 중국 내지를 보실라(Bosila)라고 하는데 중국의 맨 끝부분에 있다. 이 지역은 산악지대이며, 때론 보신라로 불린다. 일부는 물속에 있다. 이 도시같이 예쁘고 풍요로운 도시는 발견할 수 없다. 소수의 사람이 이 도시에 도착하지만 너무나 살기 좋은 곳이라서 이 도시에 한번 가기만 하면 떠나지 않는다>
◆자카리야 카즈위니(Qazwini·1203~1282)가 쓴 ‘창조의 경이로움과 존재의 희귀성’과 ‘나라들이 남긴 발자취’에 나타난 신라
<신라는 너무나 완벽하고 좋은데, 중국의 한 지방이다. 물이 달고 땅이 비옥하며 맑은 공기가 있어 가난하고 비루한 사람을 찾아볼 수 없다. 사람들은 모두 너무나 아름답다. 질병도 적다. 사람들이 만약 물을 땅에 뿌리면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고 한다. 유해동물과 해충, 파리와 전염병도 이 땅에선 거의 없다. 다른 지역에서 병이든 사람을 누구나 신라에 데려오면 병이 완쾌된다. 자카리야에 라지는 “누구든지 신라에 오는 사람은 이곳에 정착하는데 풍부한 금과 과일, 맑은 공기와 물 등 살기 좋은 조건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신라는 유쾌한 나라다. 중국의 가장 끝자리에 위치한다. 공기가 맑고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기에 사람들은 행복한 표정을 하고 있다. 사람들은 말하길 집에 물을 뿌리면 용연향(향유고래의 배설물에서 나는 향기)이 난다고 한다. 전염병과 다른 병은 물론 드물고 파리와 야생동물 또한 거의 없다. 다른 지역의 어떤 환자도 이곳에 오면 치유된다. 모함마드 자카리야 라지는 “누구나 이 땅에 들어가면 살기 좋으므로 정착해 떠나려 하지 않는데 그건 자원과 금이 풍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오로지 하나님만이 그 진실을 안다>
◆세드 빈 알리 조자니(Jojani)가 쓴 ‘도로와 왕국 총람’에 등장한 신라
<신라는 중국의 맨 끝부분에 위치한다. 어떤 사람은 신라를 바신라라고 부르는데 바신라 역시 해변을 갖고 있다. 바신라는 부유하고 아름답다. 거기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개 젊은이다. 그곳을 여행하는 사람은 매우 적은데 한번 그곳에 가면 살기가 좋아 떠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볼 때 페르시아인의 눈에 비친 신라는 무릉도원이자 이상향이다. 하기야 사막과 황무지로 된 그곳에서 바라본 동방의 신라는 젖과 꿀이 흐르는 복지일 수도 있다. 그들의 문헌에서 보듯 한번 신라를 찾은 사람은 그곳에 정착해 돌아오지 않는다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관한 이 기록들은 한자문화권 밖에서 나온 문헌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보수기 교수의 논문에 대한 반론도 있다.
송수환 울산대 연구교수는 ‘Silla’ ‘Sila’ ‘Shila’가 ‘섬’ 혹은 ‘군도’라고 언급된 것을 볼 때 한반도의 신라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대양의 극동에 신라라는 섬이 있다’ ‘중국의 해안 쪽으로 신라라는 섬들이 있다’ ‘중국 저편 동해에 여섯 개의 섬으로 형성된 신라라는 나라가 있다’는 설명을 예로 들었다.
글·사진= 영남일보 / 박진관기자 pajika@yeongnam.com
출처 : 경주학연구원 慶州學硏究院
글쓴이 : 菊英堂 원글보기
메모 :
'☆-행사·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남한산성 제1남옹성, 발굴조사로 전모 드러나 (0) | 2014.11.14 |
---|---|
[스크랩] 고대 페르시아는 신라, 신라인을 이렇게 얘기했다 (0) | 2014.11.14 |
[스크랩] 금관총·서봉총·금령총·식리총·황남리고분…신라왕릉 재발굴 연말에 첫삽 (0) | 2014.11.14 |
[스크랩] “경주문화재 발굴 작업 특정기관 독점은 안돼”…정수성 의원 강력 비판 (0) | 2014.11.14 |
[스크랩] 기운 것 바로잡으랴 원형 유지하랴 첨성대 복원 딜레마 (0) | 201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