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안강

경주강동 다산-삼괴정

박근닷컴 2010. 6. 29. 00:27

 

 

 

 

 

 

 

 

 

필경재(必敬齋) 현판

 

화수당(花樹堂)현판

 

포죽헌(苞竹軒) 현판

 

 

 

정원에는 최고신분과 문화의 결정체인

궁궐에 조성된 정원과 

사대부 선비들의 주택정원, 전통사회

구성원의 특성을 간직한 마을, 살림집과는 차별되는

선비들의 별장인 별서, 

경관이 좋은 곳을 따라 짓는 누. 정

등으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궁궐은 왕이 거주하는 공간이므로 가장 화려하고

위엄이 있는 곳이므로 풍수지리사상,

음양오행사상, 유교사상, 신선사상 등의

다양한 사상과 기술들이 함축된 최고의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주택정원은 기능적 측면이 강조되고

풍수지리사상과 음양오행사상이 결합된 공간으로

재배치되고 있다고 합니다.

마을 정원은 배산임수의 지형으로 산을 등지고

남향으로 앉아서 경작지와 용수를 확보하는

기본형태를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별서정원은 오늘날의 별장과 유사한 개념으로

경관이 수려한 자연 속에 조성하고 정자와

같은 기본 시설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누정은 사대부 선비들의 문화공간으로 누는 공적으로

 이용된 성격이 강하고 정자는 사적으로 이용된

공간으로 구별하고 있다고 합니다.

누정은 대부분 사방이 트여 있어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쉬운 점은 있으나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산수에 묻힌 누정 그 자체가

감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