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강 산대리고분군
안강읍(安康邑) 산대1리 새터마을의 북쪽 능선일대에 유존한다. 마을 앞은 넓은 평야와 실개천이 펼쳐져 있고 멀리 동쪽에는 기계천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이다. 고분군(古墳群)은 산대못을 중심으로 해발 70m 내외의 북쪽 능선에서 시작하여 남쪽 평지로 내려가면서 조영된 듯 하다.
봉분(封墳)은 능선 말단에서 1기가 확인되었는데 장축을 북동-남서향으로 둔 장타원형 분구로 저경 9.5m, 높이 1.2m이다. 분구 주변에는 벽석(壁石)으로 보이는 산돌이 흩어져 있어 이미 도굴된 듯하다. 일대에 민가와 민묘(民墓), 밭 등이 들어서면서 고분들이 훼손된 듯하다.
주변에서 채집된 토기편(土器片)들은 경질(硬質), 와질(瓦質) 토기편 외에 자기편도 있어 이곳에 오랜 시기 동안 고분을 쓴 것 같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7, 경주북부지역지표조사보고서)
``````````````````````````````````````````````````````````````````````````````````````````````````````````````````````````````````````````````````
노당리고분군(노당리古墳群)
노당 2리 안강북부초등학교 북쪽, 남산지가 있는 능선과 노당 1리 노당교에서 북쪽으로 0.3km 떨어진 국도 변 논 가운데 1기와 아랫노당이 뒷산과 윗노당이 북쪽 야산 속칭 칠성현으로 부르는 정상에 고분군(古墳群)이 유존한다.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攬)》과《경주풍물지리지(慶州風物地理志)》등에 의하면 아랫노당의 사릿골에 신라 말기의 서민층으로 추정되는 소형 석실총(石室塚)이 있어서 일제 때 도굴되었는데 지금은 흔적조차 알 수 없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현지조사 결과 토기편(土器片) 채집은 되지만 뚜렷한 유구는 찾지 못했다. 그러나 남산지 주변 해발 60~80m 정도의 야트막한 구릉상에서는 잡목과 풀들로 덮여 있는 수십 기의 고분들을 확인하였다. 분구는 비록 삭평되고 잔흔만 남았지만 장축은 동서 방향이 우세했다. 분구 저형은 장축이 7-9m인 장타원형이 많고 분구자락에는 호석(護石)으로 보이는 산돌이 지표상에 드러나 있다. 주변에서 인화문(印花紋)이 찍힌 토기편들이 채집되었다.
노당 1리 고분은 바로 국도변 논 가운데 1기가 유존하는데 주민에 의하면 과거 이 근처에 여러 기가 있었으나 경작으로 모두 훼손되고 1기만 남았다고 한다. 현 고분은 봉분자락을 도려내어서 마치 원형의 섬처럼 남아있다. 봉분 저경 9m, 높이 2.5m 정도이다. 윗노당의 마을 고분군은 해발 160m 정도 되는 산 정상에 천석(川石)과 할석(割石)들이 지표상에 드러나 있어 소형석곽으로 추정된다.
석곽크기는 240×70(장×폭)cm 정도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7, 경주북부지역지표조사보고서Ⅰ)
'▶답사 안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강동 안계리 석조 여래좌상 (0) | 2011.03.31 |
---|---|
안강 근계리(根溪) (0) | 2011.03.15 |
안강 두류리 사박골 (0) | 2011.03.15 |
안강 두류1리... 아릿마을 (0) | 2011.03.15 |
양동마을 향단 설경 (0) | 201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