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문 [一柱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말이다.
네 기둥[四柱]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사찰에 들어가는 첫 번째 문을 독특한 양식으로 세운 것은 일심(一心)을 상징하는 것이다. 신성한 가람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불법의 청량수로 말끔히 씻고 일심으로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상징적인 가르침이 담겨 있다.
즉, 사찰 금당(金堂)에 안치된 부처의 경지를 향하여 나아가는 수행자는 먼저 지극한 일심으로 부처나 진리를 생각하며 이 문을
통과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천등산 봉정사 일주문]
'일주'라는 말뜻
일주문을 처음 보는 사람이면 누구나 떠올리는 궁금함이 있다. 일주 곧 '하나(一)의 기둥(柱)'이란 이름을 붙였는데 기둥은 왜 두 개일까?
일주(一柱)는 글자 그대로 해석해서 '한 개의 기둥'이라는 뜻이 아니고 '일직선으로 서 있는 기둥'이라는말이다. '일직선'은 곧, 일심(一心)을 뜻한다. '한 마음'이라고 풀이가 되겠는데, 불교의 표현을 빌면 승려(僧)와 속인(俗)이 하나요, 부처와 중생이 하나요, 나와 남이 하나고, 사랑과 미움이 다 하나라는 말이다.
즉 모든 물질은 다 다른 것 같지만 본질을 보면 모두 같다는 말이다. 이러한 깨달음을 얻게 해주는 일주문을 경계로 해서 승(僧)과 속(俗)이 구분이 된다. 다시 말해 여기서부터 절의 경내에 들어온 셈이 된다.
일주문은 이렇게 우리들에게 일심(一心)으로 깨달음을 얻도록 넌즈시 일러주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는 속계(俗界)가 아니라
성계(聖界)에 도달했음을 말해준다.
평소에 아무런 생각도 없이 지나쳤던 문 하나에도 이렇게 '해탈'이 있고 '깨달음에의 길'이 있었던가.
이렇게 일주문은 우리가 일주문을 지날 때면 부처님이 계신 신성한 곳(불국토)에 도달하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끊고 마음을 하나로 모아(一心) 진리의 세계로 들어가고자 하는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말없이 우리를 굽어보고 있다.
'☆-역사.문화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렝이질-그레질>의 지혜 (0) | 2011.06.10 |
---|---|
삼보 사찰 (0) | 2011.06.10 |
조선시대 사립대학 서원(書院)과 철폐 (0) | 2011.06.10 |
석굴암 잘못 복원, 아는 사람 몇 없어 내가 바로잡아야 하는데 … (0) | 2011.06.07 |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 201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