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산은 풍수지리적으로 금강이 계룡산을 휘돌아 나가고 산의 형세 또한 금강과 함께 휘돌아 산(山) 태극(太極), 수(水) 태극을 이룬다 하여
태조 이성계의 한양 천도설을 비롯하여 정감록에 800년 도읍지로 기록되면서 세인의 관심을 예부터 받고 있었다.
그 유명세는 계룡산을 “민족의 영산(靈山)”으로 불리게 하였으며 한때는 100여개가 넘는 신흥종교 단체가 계룡산 곳곳에 자리를 잡고 번성을 기원하였었다.
예전 같지 않지만 지금도 공주에는 계룡산을 중심으로 많은 무속인(巫俗人)들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국도에 인접해 있으면서 삼불봉과 임금봉이 병풍처럼 펼쳐져 힘찬 풍광이 있는 산중분지(山中盆地) 하신리는 산골치고는 제법 넓고
기름진 땅이 있어 문전옥답(門前沃畓)의 풍요와 함께 50여호 100여명의 주민이 평화롭게 살고 있는 고장이다.
하신리와 더불어 이웃한 마을 상신리는 하신리와는 달리 계룡산 자락 언저리에 위치하고 있어
마을사람들은 층층이 개간한 천수답(天水畓)과 비탈밭을 일구며 계룡산 맑은 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에서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다.
계룡산 봉우리가 힘차게 자락을 내린 사이 길을 돌아가면 먼저 나타나는 마을이 하신리이다.
이 길을 막 돌아서 우측에 국립공원 계룡산임을 알리는 안내판과 함께 길가에 서있는 장승과 솟대가 마을을 지키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하신리 사람들은 마을 어귀인 이곳과 상신리에서 하신리로 들어오는 마을 어귀.
두 곳에 장승과 솟대를 세워 마을로 들어오는 잡귀를 막고 있다.
약 200m 간격으로 세워진 장승들, 마을사람들은 매년 정월에 장승제를 지내는데 한해에는 아래장승을 이듬해는 위장승을 격년제로 세운다.
본래 장승은 무성(無性)이었으나 세월의 변천에 따라 암수를 구분하여 세우게 되는 풍습의 변화도 있었다.
하신리의 장승은 한 쌍의 장승을 동아줄처럼 굵게 엮어 묶어 금실 좋은 부부장승처럼 보이나 무성(無性)의 장승이다.
올해 새로 세워진 위 장승이 하나만 추가된 점을 봐서 그렇다.
장승은 돌림병이나 흉년을 가져오는 잡귀를 막기 위해 마을 어귀에 세운다.
그리고 장승은 한번 세워놓으면 그 장승의 밑둥이 썩어 쓰러지기 전까지 세워놓는다.
그러기에 먼저 세워진 장승은 썩어 없어질 때까지 새 장승과 함께 세워놓는데
하신리 장승의 특징은 장승을 동아줄처럼 굵게 엮어 솟대와 함께 묶어 놓는 것이다.
산 좋고 물 좋으며 민족의 영산이라 불리어지는 계룡산에 자리한 두 마을에 예부터 전해 내려 온 전통민속이 없을리 없다.
두 마을의 이름을 상신리와 하신리로 불리게 한 것은 두 마을의 중간 쯤 산신당이 마주 보이는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어서 그렇다.
그래서 예전에는 마을 이름을 윗신소, 아래신소로 불리었으며 지금은 상신리, 하신리라는 마을이름이 되었다.
산신당은 원래 마을사람들이 뽑은 제관을 비롯하여 집사들 외에는 잡인의 출입을 금하는 곳이어서 위엄서린 장소이며
그리 친근한 느낌이 들지 않는 곳이다.
산신의 아래 급인 장승은 어떤 모습인가.....?.
장승에 솟대를 같이 엮은 뜻은 확인할 바가 없으나 솟대는 마을의 안녕과 풍년 기원의 대상이니 장승은 재액을 막고 솟대는 기쁨과 풍요를 마을에 안겨주는 신으로 삼자는 마을사람들의 의도일 것이다.
상신리는 마을의 입구에 금줄을 치고 그 바로 뒤에 붓으로 먹을 썩썩 그려 넣은 하신리 장승과는 대조적인 장승 한쌍씩을 길가에 마주보게 세워놓아
마을의 수호신으로 삼았다.
상신리의 장승은 하신리 장승과는 달리 전문 조각가의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괴기스럽다기 보다는 해학이 넘쳐난다.
눈 꼬리가 볼까지 한껏 늘어진 것과 귀밑까지 한껏 찟어진 입사이로 드러난 뻐드렁니, “툭” 불거진 볼의 표정이 볼수록 재미있다.
선돌에 새겨진글....신야춘상엄원일월(莘野春狀俺原日月)
유래는 알수 없으나 소원을 비는 의미를 두고 있는게 아닌지...
'▷답사 충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공주 [신원사] (0) | 2011.12.01 |
---|---|
충남 공주 [갑사] (0) | 2011.12.01 |
충남 공주 계룡산 [오뉘탑(남매탑)] (0) | 2011.12.01 |
충남 공주 계룡산 [동학사] (0) | 2011.11.30 |
공주 동학사 오뉘탑 (0) | 201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