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발굴유물부터 일제강점기 불교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려 눈길을 끌고 있다.
불교중앙박물관(관장 덕문스님)은 19일부터 오는 5월31일까지 서울 조계사, 군위 인각사, 순천 선암사 주요 유물들을 전시하는 2014년 상설전을 개최한다. 전시유물은 보물 5건을 포함한 총 92건 277점이다.
![]() |
||
인각사 출토 불교금속공예품. 이번 전시회에서는 인각사에서 출토된 중요 유물인 불교금속공예품들을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기회다. |
11월 기획특별전 ‘인각사와 삼국유사’를 압축 전시했으며, 인각사 역사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다. 인각사 출토 불교금속공예품은 9세기 무렵의 것으로 10여 점이 출토됐는데 그 하나하나가 문화재적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인각사에서 출토된 중요 유물인 불교금속공예품들과 주요 발굴유물들을 다시 한 번 보실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 |
||
순천 선암사 동종. 보물 1561호. |
특히 선암사 성보박물관에서 출품된 7건 7점의 불교미술품들이 주목된다.조선 후기 1736년에 제작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는 조선 후기 불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18세기 감로왕도 최전성기의 전형을 이루는 작품이다.
![]() |
||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 보물 1553호. |
제3전시실은 일제강점기 불교 상황을 보여주는 유물을 선보인다. 이 전시실에는 1938년 조계사 대웅전이 건립 되었을 당시 납입됐던 상량유물이 전시된다. 일제강점기 불교의 상황 뿐 아니라 당시의 생활을 보여주는 중요한 것으로 총 18건 112점의 유물을 볼 수 있다.
191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불교 중심에 있는 조계사는 창건 과정부터 자주적인 한국불교를 되살리려는 치열한 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조계사 대웅전 건립은 일제강점기 시대적 한계 속에서 자주적 한국불교를 세우고자 했던 중요한 사업이었다.
![]() |
||
조계사 대웅전 상량유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