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속 `용`의 모습]
↑ 머니투데이가 걸어온 지난 10년간 만나본 한국경제를 이끌어가는 2012인이 `재도약의 2012년`을 기원하며 한마리 용을 형상화 하고 있다. ⓒ이동훈 기자 photoguy@
|
몸은 거대한 뱀과 비슷한데 비늘과 4개의 발이 있으며, 머리는 낙타 같고 뿔은 사슴에, 귀는 소의 것에 가깝다. 깊은 못이나 늪, 호수, 바다 등 물속에서 살며 때로는 하늘로 올라가 풍운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로부터 용은 초능력을 가진 동물로 강력한 수호자나 길상자의 역할을 했다. 용은 자유롭게 모습을 바꿨다가 숨길 수도 있고 물과 바다를 다스리는 강력한 힘을 가진 동물이기 때문에 최대 권력자인 왕의 상징으로 쓰였다.
이처럼 동양에서는 용이 초자연적인 힘을 지닌 존재, 자연 등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존재였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드래곤이라 불리며 주로 악한 존재로 표현됐다. 동화속 공주를 납치하고, 기독교에서도 악의 화신으로 생각했다.
↑ 삼국유사 |
왕뿐만이 아니다. 신사임당은 흑룡이 바다에서 솟아 올라와 침실로 날아 들어오는 꿈을 꾸고 율곡 이이를 낳았다고 전해진다. 때문에 이이의 어릴 적 이름은 견룡이었다. 고려 마지막 충신인 정몽주의 태몽에도 용이 등장한다. 그래서 한때 이름이 몽룡이기도 했다. 홍길동전에서도 홍판서가 용꿈을 꾸고는 홍길동을 낳았다.
조선시대에 특히 용을 좋아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왕이 집무를 봤던 경복궁 근정전 천장에 발톱이 7개 달린 칠조룡을 그려놓았고 경회루 연못에는 구리로 만든 용 2마리를 넣기도 했다.
임금과 관련된 물건에도 용이 빠지지 않는다. 아니 용 자체가 왕을 상징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함부로 용이 들어간 물건이나 말을 사용하지 못했다. △용안: 임금의 얼굴 △용가: 임금이 타는 수레 △용교의: 임금이 앉는 의자 △용궐: 궁궐의 경칭 △용루: 임금의 눈물 △용수: 임금의 수염 △용주: 임금이 타는 배 △용평상: 임금이 앉는 평상 △용포: 임금이 입는 정복 등이 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하고 만든 `용비어천가`에서 나오는 해동 육룡 역시 선대왕 등 세종대왕의 선조들을 뜻한다.
↑ 민화 속에 나타난 `용`
|
용띠 태생인 단재 신채호 선생(1880~1936)은 유고로 장편소설 `용과 용의 대격전`을 남겼다. 동양의 용 미리와 서양의 용 드래곤이 격투를 벌이는 내용이다. 미리가 끊임없이 민중을 억누르는 봉건주의 압제자의 대표라면, 드래곤은 지상의 민중혁명을 구현해 가는 지도자로 볼 수 있다. 오래된 작품 속에서 이 시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엿볼 수 있다.
↑ `한국경제, 흑룡의 기상으로 승천하라!`
|
'☆-역사.문화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상의 자세 (0) | 2012.01.05 |
---|---|
불상의 자세를 알아보자 (0) | 2012.01.05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의 금동불' 보고서 (0) | 2011.12.31 |
법구사물 중 범종 명칭 변경에 대하여 (0) | 2011.12.27 |
글로벌 해양강국의 꿈... 백제 (0) | 201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