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상(坐像)과 입상(立像), 그리고 와상(臥像)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좌상에서는 흔히 결가부좌(結跏趺坐)를 선호한다.
결가부좌에는 불타가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룰 때 취했다고 하는 길상좌(吉祥坐)와 항마좌(降魔坐)의 2가지 형식이 있는데
전자는 오른발을 위로 놓은 것이고 그 반대가 항마좌이다.
결가부좌에서 한쪽 다리를 밑으로 내린 형식을 반가좌(半跏坐)라 하는데, 삼국시대 미륵보살상의 자세로 많이 조상된 형식이다.
또한 의자에 걸터앉아 두 다리를 가지런히 내리는 의상(倚像:三花嶺石造彌勒三尊의 本尊像)과 의상에서 두 다리를 교차시키는 교각상(交脚像) 등의 형식이 있다.
입상은 등족립(等足立)이라 하여 두 발을 가지런히 해서 직립하는 자세를 말한다. 불 ·보살 및 각종 불교상이 보편적으로 취하는 자세이다. 와상은 불의 열반모습을 나타내며 옆으로 누운 자세로 표현된다.
불상의 자세
1. 입상(立像)
서 계신 모습으로 마애불에 흔하게 보인다.
2. 좌상(坐像)
앉아 계신 모습으로 다리는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석굴암 본존불과 같이 우리나라의
많은 수의 좌불이 석불이나 철불로 드물게는 소조불로도 조성되었다.
3. 열반상(涅槃像)
열반할 때의 모습인 와상(臥像)이다. 두 다리를 가지런히 뻗고 모로 누운 상이다.
4. 의상(倚像)
이 형식은 인도에서 비롯하였는데, 두 다리를 가지런히 해서 밑으로 늘어 뜨리면서 걸상에 걸터앉은 모습이다.
5. 교각상(交脚像)
의상과 같은 자세인데 다만 늘어뜨린 두 다리가 가지런하지 않고 발목에서 교차시키고 있는 형식이다.
6. 반가상(半跏像)
두 다리의 모양이 결가부좌에서 한 쪽 다리가 결가부좌를 풀고 밑으로 늘어뜨린 반의 가부좌라는 뜻에서 그러한 명칭이 생겼다.
미륵 보살 반가사유상의 예 에서 볼 수 있다.
7. 탄생불(誕生佛)
세존이 탄생할 때의 모습으로 바로 서있는 자세로 한 손은 들어서 하늘을 가리키고 한손은 늘어뜨려서 땅을 가리키고 있다.
8. 유휴좌상(遊休座像)
반가상과 흡사하나 오른쪽 다리가 왼쪽 무릎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상으로 결가부좌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데
遊戱座像(유희좌상)이라고도 한다.
9. 궤좌상(詭坐像)
한 무릎은 세우고 다른 무릎은 꿇어앉은 자세로, 주로 고려시대의 불상에 나타나 월정사 8각9층탑 앞의 보살상이나 강릉 신복사터
보살좌상에서 볼 수 있다.
'☆-역사.문화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성스레 추모하는 祭祀.(월간 문화재 사랑에서) (0) | 2012.01.11 |
---|---|
전통 기법 복원하자니 인건비가 … 숭례문 딜레마 (0) | 2012.01.06 |
불상의 자세를 알아보자 (0) | 2012.01.05 |
[우리 문화속 `용`의 모습] (0) | 2012.01.02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의 금동불' 보고서 (0) | 201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