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관련자료

국립공원의 현황 및 연구

박근닷컴 2011. 10. 25. 22:01

 자연적 관광자원

 

 국립공원의 현황 및 연구

1.       지리산 국립공원

1) 위치: 전북 남원, 전남 구례, 경남 산청, 하동, 함양

2)   지정: 1967년12월29일(국립공원 제1호)

3) 특징: 삼신산(三神山) 지리산, 백두산, 금강산

4)   사찰

화엄사: 신라시대 연기조사가 창건한 고찰

연곡사: 동부도, 서부도

그 외 천은사, 실상사, 쌍계사 등

5)    지리산의 10경 소개

1경(노고단의 운해) 제2경(피아골의 단풍) 제3경(반야봉의 낙조) 제4경(섬진강의 청류) 재5경(벽소령의 명원) 제6경(불일폭포) 제7경(세석의 철쭉) 재8경(연하선경) 제9경(천왕봉의 일출) 제10경(칠선계곡)

 

2.       경주국립공원

1)   위치: 경상북도 경주지역 일원으로 도시형 국립공원

2)    지정: 1968년 12월31일

3)   특징: 국보급 문화재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호), 3층석탑(국보 제21호), 석굴암 석불(국보 제24호) 등

4)   1979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10대 문화유적지로 선정

 

3.       계룡산국립공원

1)   위치:대전광역시, 충남 공주, 논산에 소재한 국립공원

2)   지정:1968년12월31일

3)   특징:백제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샤머니즘의 본거지, 계룡산은 산의 형상이 닭의 볏을 쓰고 있는 용모양의 산이라 하여 계룡산이라 불렸다.

4)   사찰: 동학사지구, 갑사지구(보물 제478호)

 

4.       한려해상국립공원

1)   위치: 경남 통영시 한산도, 전남 여수에 이르는 삼백리 물길의 한려수도, 한산도의 과 여수의 를 따서 한려수도라 함.

2)   지정: 1968년12월31일

3)   특징:

(1) 충무, 한산지구

(2) 노량지구

(3) 금산지구

(4) 삼천포지구

(5) 여수지구

(6) 해금강지구

 

5.       설악산국립공원

1)   위치: 강원도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고성군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2)   지정:1970년3월24일

3)   특징:동국여지승람에 제2의 금강산이란 별칭을 갖고 있다., 남한에서는 3번째로 높은 산이다.(한라산,-지리산-설악산 순),1982년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설정

4)   구분: 내설악(설악산맥의 주능선을 경계로 한 서부일대, 행정구역상 인제군 인제읍과 북면에 걸친 지역) 외설악(설악산 동부일대 전지역,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등)

 

6.       속리산 국립공원

1)   위치: 충북 보은군, 경남 상주군 경계에 위치

2)   지정:1970년3월24일

3)   유래: 신라 혜공왕 때 당대의 고승 진표대사가 전북의 금산사에서 이곳 법주사에 닿을 무렵 이곳에서 한가로이 농사일을 하고 있던 농부들이 몰고 있던 소들이 갑자기 대사를 향해 예를 표하자 감명한 농부들이 대사를 따라서 속세를 떠나 구도의 길을 택한 데서 연유한다.

4)   특징:법주사(신라 진흥왕 때 의신조사가 지었다고 하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인조 2년(1624년)에 복원 한 것이 현재의 건물이다.

 

7.       한라산 국립공원

1)   위치: 제주도의 한라산 중심으로 하는 국립공원

2)   지정:1970년3월24일

3)   특징: 3多(바람, 돌, 여자), 3無(대문, 거지, 도둑), 3寶(식물, 바다, 언어), 3麗(인심, 자연, 열매)의 섬, 현무암(돌 하루방)

4)   현황: 1979년 뉴스위크지에 선정(세계10대 관광지)

5)   참조: 제주도의 풍물소개(p, 70~71참조)

 

8. 내장산 국립공원

 1) 위치: 전남(장서군)과 전북(정주시, 순창군)을 경계에 있는 국립공원

 2) 지정:1971년11월17일

 3) 유래:조선 명종때의 고승 희묵대사가 이르기를 이산은 안으로 들어갈수록 경치가 절경이라고 한 데서 연유하여 그 이후 내장산이라고 명명함(설화에 의해)

 4) 특징:

 -.주봉(신선봉,763m), 서래봉(460m), 불출봉(500m), 연지봉(725m), 장군봉(696m), 등

 -.내장산의 단풍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으뜸이라고 할 정도로 정상급 관광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9. 가야산 국립공원

 1) 위치:경남 합천군 가야면, 거창군, 경북 성주군 일부

 2) 지정:1972년10월13일

 3) 특징: 우두산이라고도 한다. 상왕봉, 두리봉, 남산, 단지봉, 남산 제1봉, 매화산 등

  가야산 국립공원의 중심지는 법보종찰의 해인사가 있다. 해인사는 일주문안의 건물만도 50채가 되며 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 국보 제52호인 해인사 장경판고를 비롯하여 다수의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명찰이다.

 

10. 덕유산 국립공원

 1) 위치: 전북 무주군, 장수군, 경남 거창군, 함양군

 2) 지정: 1975년 2월1일

 3) 특징: 북덕유산(무주군 설천면, 안성면 경계)

            남덕유산(장수군, 거창군, 함양군의 경계)

        백련사: 신라 신무왕 1년(839)백련선사가 숨어살던 곳으로 백련이 솟아나와 그 위에 절을 짓고 백련사라 했다.

 

11. 오대산 국립공원

 1) 위치: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명주군

 2) 지정: 1975년 2월1일

 3) 특징: 서쪽:호령산, 서대산

            북쪽: 상왕봉, 북대산, 두로봉

            동남쪽: 동대산 등이 고봉을 이루며, 산세가 아름다운 비로봉을 중심으로 5개의 연꽃잎을 연상시키는 봉우리가 연이어 있어 오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하는 설과 東, 西, 南, 北,中의 5대에 석가, 관음, 미타, 지장, 문수부처가 각각 상주하여 설법하는 성지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라고도 한다.

 

12. 주왕산 국립공원

 1) 위치: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을 중심으로 청송읍, 영덕군

 2) 지정: 1976년3월30일

 3) 설화: 중국 주나라의 주왕이 목숨을 부지하기 위하여 이곳에 피신한 데서 연유한다고 한다. 석병산 또는 주방산이라 불린다.

 4) 4대 명물: 수달래, 천년이끼,송이, 회양목

 

13. 태안해안 국립공원

 1) 위치: 충청남도 태안군과 보령군 해안

 2) 지정:1978년10월20일(서산해안 국립공원)-1990년3월(태안해안국립공원)

 3) 특징: 250여 종에 이르는 식물이 분포하며 동물450여 종이 살고 있다.

        예로부터 외적의 침입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이를 방어하기 위해 세웠던 소근진성, 안흥진성 등의 성지가 있고, 안파사지, 사동사지, 구곡사지 등의 절터 망수대, 능허대 등의 사적지가 있다. 아산호, 삽교호 등의 방조제 및 주변의 현충사, 추사고택, 온양, 도고온천, 덕산도립공원과 연결되어 연중 관광객이 줄을 잇고 있다.

 

14. 다도해해상국립공원

 1) 위치: 전라남도의 신안, 진도, 완도, 고흥, 여천군

 2) 지정: 1981년 12월23일

 3) 특징: 7개 지구로 편성

  (1) 흑산도, 홍도, 만재도 지구

  흑산도는 일명 서초도라고도 하며, 목포에서 약 93km지점인 서해상에 있다.

  (2) 신안해안지구

 신안군의 비금도, 도초도, 신도, 우이군도 등

  (3) 진도해상지구

  (4) 완도해상지구

  (5) 고흥해안지구

  (6) 거문도, 백도지구

  (7) 돌산, 여천지구

 

15. 북한산국립공원

 1) 위치: 수도권 중북부

 2) 지정: 1983년4월2일

 3) 특징: 백운대, 인수봉, 만경봉, 상장봉, 석가봉, 보현동, 문수봉, 나헌봉, 응봉

   비봉에는 신라 진흥왕순수비(국보 제3호)

 

16. 치악산 국립공원

 1) 위치: 강원도 원주시, 원주군

 2) 지정:1984년12월27일

 3) 특징: 적악산이었으나 유명한 전설'꿩의 보은'으로 치악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오악의 하나인 동악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7. 월악산 국립공원

 1) 위치: 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덕산면 경계, 중원군, 단양군, 경상북도 문경군

 2) 지정: 1984년12월31일

 3) 특징: 수안보에서 약12km떨어진 국립공원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미륵사지에는 석불입상(보물제95호),3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33호)

 

18. 소백산 국립공원

 1) 위치: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가곡면, 대강면과 경상북도 영풍군 부석면, 단산면, 순흥면, 풍기읍

 2) 지정: 1987년12월14일

 3) 특징: 국립천문대(제2연화봉과 죽령사이)

 

19. 변산반도 국립공원 

 1) 위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변산, 상서, 진서, 하서면)

 2) 지정:1988년6월11일

 3) 특징: 내변산과 외변산

 

20. 월출산 국립공원

 1) 위치: 전라남도 영암군, 강진군

 2) 지정: 1988년 6월11일

 3) 특징: 산체가 크고 아름다우며 기암괴석과 벽담, 폭포사가 어우러져 빼어난 절경을 이루어 예로부터 호남의 소금강이라고 불리어 왔다.

 무위사 극락전(국보 제13호),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 월남사 지석비(보물 제313호) 구림리에는 백제의 대표적인 학자인 왕인박사가 태어나 일본으로 떠나기 전까지 활동했다는 전설과 유물들이 있으며 가을에는 단풍과 더불어 억새밭이 절경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