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라 황남대총, 부부 무덤 아닌 부자 무덤이다? 신라 황남대총, 부부 무덤 아닌 부자 무덤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큰 옛 무덤인 경북 경주 황남대총 이주헌 전주박물관 학예실장, 최근 학술지서 파격주장 펼쳐 한반도에서 가장 큰 옛 무덤인 경북 경주 황남대총이 신라 왕과 왕비가 묻힌 무덤이 아니라 선후대왕이 나란히 묻혀 권력을 과.. ☆-행사·새소식 2015.06.04
[스크랩] 김인문 유일 친필 중국서 발견 〔단독〕김인문 유일 친필 중국서 발견 송고시간 | 2015/06/02 06:00 당 황제 별장 구성궁 비석에서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둘째아들로 문무왕 김법민의 동생인 김인문(金仁問·629∼684)이 남긴 유일한 친필 글씨가 중국 당나라 황제 별장인 구성궁(九成.. ☆-행사·새소식 2015.06.04
[스크랩] 경주시, 1117년 만에 `숭복사비 중각` 건립 경주시, 1117년 만에 '숭복사비 중각' 건립 기사입력 : 2015년04월30일 20시03분 (아시아뉴스통신=은윤수 기자) 30일 경북 경주시가 외동읍 말방리 소재의 숭복사지에 신라 진성여왕 10년(896)에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쓴 '신라 초월산 대숭복사비(新羅初月山大崇福寺碑)'를 1117년 만에 중.. ☆-행사·새소식 2015.05.02
[스크랩] ‘황남대총’ 주인공도 모른채 인골 다시 묻은 사연은? 박정희 대통령 방문 전날, 기대했던 금관 대신 인골 출토 1970년대 발굴 전 황남대총 전경(위쪽 사진)과 출토된 왕의 유골을 재안장하는 모습. 유골은 당시 사회 정서를 고려해 결국 무덤 속에 다시 안장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호기심 가득한 얼굴로 무덤 속을 조금씩 파내려가던 고.. ☆-행사·새소식 2015.04.16
[스크랩] 경주 불국사, 사물인터넷과 만나다앱 경주 불국사, 사물인터넷과 만나다앱 ‘내 손안의 불국사’…최신 모바일IT기술 접목 애플리케이션 '내 손안의 불국사' 근거리 접근시 자동 제공 입체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 최신 모바일IT기술과 한국문화의 보고(寶庫)인 전통사찰이 만난다면? 사물인터넷ㆍ증강현실ㆍ위치인식 등의 첨.. ☆-행사·새소식 2015.04.16
[스크랩] 남녀 `포개 묻은` 5세기 신라 무덤 경주서 발굴 조사단은 "여성 위해 남자 순장"…'교합'하는 모습 반론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20~30대 남성과 여성으로 추정되는 두 사람을 아래위로 포갠 상태로 묻은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 무렵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이 첨성대 남쪽 경주 분지에서 발굴.. ☆-행사·새소식 2015.04.12
[스크랩] 경주 황남동 95-6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내 국비지원 문화재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경주 황남동 95-6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내 국비지원 문화재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아래와 같이 문화재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개최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 대학(원)생 및 일반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당부 드립니다. 1. 개요 &#8414; 조 사 명 : 경주 황남동 95-6번지 단독주택 .. ☆-행사·새소식 2015.04.12
[스크랩] 금관총 왜 다시 발굴하나 [이한상 교수의 영월을 꿈꾼 천년왕국 신라]<1>금관총 왜 다시 발굴하나 고고학자도 없이 나흘만에 뚝딱… 일제의 마구잡이 발굴 깊은 상처 《 신라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신라인의 삶과 죽음을 각각 상징하는 월성(月城)과 금관총(金冠塚)의 본격적인 발굴이 올해부터 시작됐다. 천.. ☆-행사·새소식 2015.04.09
[스크랩] 팔부신중 새긴 경주 창림사지 석탑 보물됐다 팔부신중 새긴 경주 창림사지 석탑 보물됐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문화재청은 경주 남산 기슭 배동 산 6-1 번지 소재 신라시대 절터인 창림사지(昌林寺址) 삼층석탑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관리번호 1867호인 이 석탑은 국유지에 있으며, 관리는 경주.. ☆-행사·새소식 2015.03.11
[스크랩] “석굴암은 부처, 불국사는 보살 세계 상징” 최연식 동국대 교수 “석굴암은 부처, 불국사는 보살 세계 상징” 불국사와 동시에 건립된 석굴암은 왜 멀찌감치 산꼭대기에 지었을까 최연식 동국대 교수 논문서 주장 웅장한 원형 돔을 배경으로 석굴암 본존불이 장엄한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같은 시기에 건립된 불국사(아래)와 달리.. ☆-행사·새소식 2015.03.11